• 최종편집 2023-09-27(수)
 
▲ 브라운 박사는 “젊은 남성 환자가 만성적인 요통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염증성 요통 여부를 잘 감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번 간담회의 주제가 된 강직성척추염은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되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유럽에서는 0.5%, 한국에서는 0.1%의 유병률을 보인다. 특히 강직성척추염의 초기증상은 가장 흔한 것이 요통 정도로 조기진단이 어렵다.

세계적 석학 유르겐 브라운 박사 "척추 염증 조기 발견 중요"

“강직성척추염은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조기진단 및 TNF 억제제를 이용한 치료를 통해 강직성척추염의 혁신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강직성척추염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유르겐 브라운 박사는 강직성척추염에서 무엇보다 조기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4일 한국와이어스는 유르겐 브라운 박사를 초청해 서울 웨스턴 조선호텔에서 강직성 척추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최신 동향에 대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 발표자로 나선 유르겐 브라운 박사는 현재 독일 루르지역 류마티스센터 헤르네 병원장 겸 베를린자유대학교 류마티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독일 류마티스학회의 회장직을 맡고 있다. 브라운 박사는 강직성척추염과 류마티스관절염을 중심으로 한 염증성 류마티스 질환에 관련된 연구로 이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로 손꼽히고 있다.

이번 간담회의 주제가 된 강직성척추염은 인대나 건이 뼈에 부착되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유럽에서는 0.5%, 한국에서는 0.1%의 유병률을 보인다. 특히 강직성척추염의 초기증상은 가장 흔한 것이 요통 정도로 조기진단이 어렵다.

브라운 박사는 “젊은 남성 환자가 만성적인 요통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염증성 요통 여부를 잘 감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척추 관절의 손상이나 기능적인 장애를 막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이 핵심인데 X-선으로는 조기 진단에 있어 한계가 있다”며 “X-선에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 MRI를 통해서만 척추의 염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조기진단, 조기치료로 강직성척추염까지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브라운 박사는 강직성척추염 치료와 관련해 TNF 억제제의 주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브라운 박사는 “그 동안 강직성척추염 치료에 비스테로이드성 및 KRLSMD적으로 드라마틱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TNF 억제제는 TNF 가 TNF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염증 신호를 차단하는 약물로 현재까지 개발된 항류마티스 약제 중에서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브라운 박사는 “강직성척추염은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조기진단 및 TNF 억제제를 이용한 치료를 통해 강직성척추염의 혁신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브라운 박사는 “TNF 억제제가 척추의 염증을 감소시켜 임상적으로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방사선학적으로는 호전을 나타내지 못해 척추의 염증과 신생골 형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강직성척추염, 조기진단과 치료가 최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