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가로_사진.gif▲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손을 씻고 손의 상처 부위는 붕대나 반창고를 이용해 음식에 닿지 않도록 한다.
 

예방 위해서는 개인위생 철저히 하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어야
 
[현대건강신문] 봄의 정취를 충분히 느끼지도 못하고 낮 기온이 25도에 육박하면서 때 이른 더위가 찾아왔다. 여름철이 무색한 날씨에 걸맞게 전국 각지에서 식중독 발생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5~6월 초여름에는 잦은 야외활동, 기온 상승 등으로 식중독 발생 사고가 쉽게 일어난다. 분당 차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상 교수가 식중독 예방하는 생활수칙에 대해 소개했다.
 
해마다 5~6월 식중독 사고 빈번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중독 예방 홍보사이트(www.mfds.go.kr/fm)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중독 지수서비스’ 통계 중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식중독 발생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식중독 사고 315건 중 5~6월에 61건(19%)이 발생했고, 연평균 환자 6,325명 중 1,458명(23%)이 이 시기에 식중독에 걸렸다. 

분당 차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상 교수는 “5~6월 기온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되는 데다, 야유회나 가족 나들이 등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급식이나 도시락 등으로 인한 집단 식중독 사고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식중독은 기온이 올라가면서 음식이 상할 위험성이 커지고 집단급식이 많아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식중독균에 감염되면 12~72시간 후 구토·설사·복통 등에 시달리게 되지만, 보통 성인의 경우 1~3일 이내에 자연 치유가 된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노약자, 만성질환자들은 식중독에 걸리기 쉽고, 설사가 지속되면 탈수 증상이 올 수 있으므로 따뜻한 물을 많이 마셔 탈수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조치한 뒤 신속히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의 종류와 증상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세균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이다. 이밖에도 드물지만 이질(시겔라)균이나 캄필로박터, 지알디아균 등도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요리하는 사람의 손에 염증이나 부스럼이 있을 때 그 상처로부터 균이 음식으로 오염된다. 포도상구균 식중독은 그 균 자체에 의한 것보다는 음식 속에서 번식한 포도상구균이 내는 독소 때문에 생기므로 음식을 끓여도 독소는 파괴되지 않아 발병할 수가 있다. 

또한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이 매우 빨라서 음식을 먹은 후 1~3시간이면 심한 구토와 복통, 설사가 생긴다.
 
장염살모넬라균은 장티푸스를 일으키는 세균과 다른 종류의 균으로, 장티푸스는 사람에게서만 발병하며, 장염 살모넬라균은 동물과 사람에게서 모두 발병하는 인수공통감염으로 육류나 계란, 우유, 버터 등에 균을 포함한 동물의 분변이 오염될 경우 사람에게 섭취되어 발병한다. 

오염된 음식을 먹고 8~48시간이면, 고열, 복통,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장염비브리오균은 비브리오 파라헤몰라이티쿠스에 의한 장염으로 주로 민물과 바닷물이 합쳐지는 해수에서 서식하므로, 해변가에서 어패류나 생선을 날로 먹고 난 뒤에 생기는 식중독이면 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조개, 굴, 낙지, 생선 등을 날로 먹은 후 10~24시간이 지나서 배가 아프고 구토, 심한 설사가 나고 열이 나는 경우도 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에 의하여 발병하며 비브리오장염보다 훨씬 중증 경고를 보이는데 초기에는 장염증상을 일으켰다가 패혈증을 일으켜 생명을 앗아갈 수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간기능이 나쁜 사람이나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을 앓은 사람에게서 중증으로 진행하는 병이다. 

어패류나 생선회를 먹고 10~24시간 후에 열과 피부반점, 물집 등이 생기고 전신의 통증과 함께 팔이나 다리의 궤사가 일어나며, 패혈증이 악화되면 의식을 잃거나 쇼크 상태에 이르러 결국 사망하게 된다.
 
냉장고 속에서도 자라는 식중독균

흔히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냉장 보관된 음식은 안전하다고 믿는 것인데 전혀 그렇지 않다. 만약 음식이나 음식재료가 요리 중이나 이동 중에 오염이 되었다면 냉장고에 넣어두더라도 음식물 속에 균이 그대로 살아있고 냉장고 속에서도 균이 자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식중독은 음식물을 끓여 먹더라도 발생할 수 있지만 그래도 여름철 음식은 무조건 끓여 먹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차게 먹어야 하는 음식도 끓인 후에 식혀 먹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다. 냉장 또는 냉동해야 하는 음식물은 상온에 10분 이상 방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냉장실 보관도 하루이상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식중독 예방 생활수칙

식중독은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면 회복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과 식품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위생 수칙으로는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한 10가지가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화장실에 다녀온 후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 만들기 전, 식사 전에도 손을 씻어야 하는데 이때 흐르는 물에 비누로 씻는 것이 좋다. 음식 조리 시 완전히 익히고 되도록 가공식품을 사용하고 조리된 식품은 바로 먹는 것이 좋으며 날 음식과 조리된 음식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 음식을 보관할 때도 상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부엌을 깨끗이 하고 도마나 칼, 행주 등은 정기적으로 삶거나 햇볕에 말려 소독하여야 하고 중요한 것은 항상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음은 식중독 예방법이다.
 
△안전하게 가공처리된 식품을 먹는다.
 
△육류, 달걀 등의 날음식은 70℃ 이상의 온도에서 조리한다.
 
△조리한 음식은 즉시 먹어야 한다.
 
△먹다 남은 음식을 4시간 이상 보관할 때는 60℃ 이상이나 10℃ 이하에서 보관한다.
 
△조리한 음식을 다시 먹을 때에도 반드시 70℃ 이상에서 가열 뒤 먹는다.
 
△조리한 음식과 날 음식이 함께 섞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철저하게 손을 씻고 손의 상처 부위는 붕대나 반창고를 이용해 음식에 닿지 않도록 한다.
 
△주방의 모든 표면은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음식이 해충이나 바퀴벌레 등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안전한 물을 사용해야 하며 깨끗한 물인지 의심스로울 때는 반드시 끓여서 사용해야 한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식중독 많은 5,6월...손 씻고 충분히 음식 익히면 ‘예방’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