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8(목)
 
가로_사진.gif▲ 여성환경연대 주최로 지난 23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제보 결과 보고’ 기자회견에 참석한 40대 여성은 생리대 사용 이후 벌어진 생리불순, 월경 감소, 폐경 증세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은 것을 후회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앞줄이 릴리안 생리대 사용 후 부작용을 경험한 사용자.
 

정의당 이정희 대표 “생리대 안전성, 여성 건강권과 직결”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살충제 계란 파동이 현재진행형인 가운데, 유해물질이 포함된 생리대가 오래전부터 널리 판매돼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정치권에서도 정부의 신속한 대처를 촉구하고 나섰다.

깨끗한 나라 릴리안의 생리대 제품 사용 후 ▲생리통 ▲생리불순 ▲주기 장애 등으로 고통을 겪은 여성들의 후기가 공유되며 여론이 들끓고 있다. 

이미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에서 의뢰한 생리대 방출물질 검사에서 릴리안 생리대의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농도가 가장 높았다고 나왔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는 관련하여 릴리안의 전 성분에 대해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 만족하지 못한 소비자들의 항의가 거세지자 식약처는 다가오는 9월에 생리대 품질검사에 릴리안을 검사 품목으로 추가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빈 디지털대변인은 “이번 식약처의 대응도 늑장 대응, 핀셋 대응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생리대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대응은 후진적이기까지 하다”고 지적했다.

유럽과 미국 시민단체들은 일회용 생리대 제품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이옥신, 포름알데히드, 프탈레이트 위험성을 이미 2003년 이전부터 경고하였다. 

또한 생리대 안에 들어가는 면을 키우는데 글리포세이트가 포함된 살충제를 사용하는데, 스웨덴의 경우 글리포세이트를 발암물질로 규정하기도 하였기에 이 이슈는 민감한 사항이었다. 

사실 아직도 유럽연합이나 스위스에서는 생리대에 전성분을 표시할 의무가 없는 제도적 규제의 미비로 인해 비교적 강력한 통제 하에 있는 ‘유기농’ 면 생리대 제품이나 생리컵을 사용할 것을 권유하고 있기도 하다.

김 대변인은 “생리대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여성이 사용하는 물품이며 생애의 적지 않은 시간을 신체와 접촉해야 하기에 건강에 밀접한 물품”이라며 “이번에 발표된 독성, 발암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다면 여성에게는 치명적인 위협을 끼칠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생리대를 생산하는 업체는 대부분 아기용 기저귀도 함께 생산하기 때문에, 이것은 여성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닌 유아와 전 국민적인 사안으로 번질 수 있는 문제이다.

김 대변인은 ▲릴리안 특정 브랜드만 조사하는 핀셋 조사가 아닌, 전 생리대 제품에 대한 전수 조사 ▲유해성이 판명된 제품에 대해서는 즉각 판매 중지 ▲유해성이 의심되는 제품의 장단기 사용자에 대한 공포심을 해소할 수 있는 인체 피해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구체적으로 제공 ▲현 관리 기준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 및 생필품에 대한 전성분 표시제도가 반드시 확립 등을 촉구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도 “생리대의 안전성은 여성의 건강권과 직결돼 있다”며 “안 그래도 비싼 가격으로 인해 불만의 대상이 돼왔는데, 관리감독까지 허술했다는 것이 드러남으로써 여성건강에 대한 국가의 인식과 태도가 무엇이었는지 확인하게 되었다”고 정부의 부실한 감독을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일차적으로는 해당업체의 책임을 물어야하지만, 근본적으로 정부의 감독 책임”이라며 “정부는 즉각 시판 중인 모든 생리대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릴리안 생리대 ‘불만 여론’에 정치권 “식약처 늑장 대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