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가로_사진.gif
국회입법조사처는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김순례 의원(자유한국당), 대한약사회와 공동으로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한 안전사고 대응체계 강화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지난 7월 발생한 발사르탄 사태로 의약품 안전 사용 관리 체계가 도마 위에 올랐다. 수많은 복제약들로 인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불안한 의약품 위기대응시스템이 문제로 지적된 가운데 특히 노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의약품 안전 사용이 문제로 등장한 것이다.


이에 국회입법조사처는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김순례 의원(자유한국당), 대한약사회와 공동으로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한 안전사고 대응체계 강화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고령화 등으로 인해 의료 이용량이 높아지고 의약품 사용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의약품 본연의 부작용 외에도 사용 중 발생하는 안전문제가 늘어나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의약품 위해정보 전달체계가 효율성을 추구한 나머지 인터넷과 모바일 위주로 구성되다 보니 노인이나 장애인, 이민자 등 정보 취약계층에게는 부작용 정보로부터 소외돼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세미나의 주제 발표를 맡은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한은아 교수는 지금의 의약품 위해정보 전달체계가 저소득 독거노인, 장애인, 이주민 등에게는 의약품 오남용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독거노인, 시각·청각 장애인 등의 경우 혼자 병원 이용이 어렵고, 약사의 복약지도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며 “또 부작용이 발생해도 교환 등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특히 보건의료 영역에서 올바른 건강관련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 건강정보 이해능력 즉 건강문해도가 떨어지는 경우 의약품 오남용 우려도 크고 복약순응도도 떨어져 별도의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교수는 “취약계층은 특성에 맞는 별도의 복약상담이 필요하다”며, “저소득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다른 건강 돌봄 서비스와 연계하고, 장애인에 대해서는 의약품과 관련해 특화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시각장애인 전용 의약품 투약 상자와 의약품 포장 점자표기 등과 함께 수화를 이용한 복약지도서 개발 등의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한 교수는 “저소득 독거노인에게는 지역약국 중 가정약국 혹은 요양약국 등을 선정해 방문약제관리지도를 하도록 해야 한다”며 “또 거점약국을 활용해 독거노인, 시청각 장애인 등 취약 계층 전용 보건 도우미약사 제도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김은진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 입법조사관은 지난 발사르탄 사태에서 정부는 사고 발생시 선제적 조치와 그에 따른 발빠른 현장 조사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국민 입장에서는 배려가 부족하지 않았나 싶은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사고의 원인이 된 의약품을 복용하고 있던 환자를 대상으로 영향 평가라든지, 사후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어떠한 조치를 취했는지 사후 관리 방안에 대한 부분에 미흡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김 조사관은 "위기시 국민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홈페이지 및 공식 SNS 채널 활용, 대국민 소통채널 활용 확산 등을 제시하고 있으나, 좀 더 구체적으로 위기상황에 맞는 대상자별 대응 방법을 고민해 보 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노인,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민자, 시각 및 청각장애인 등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에 있어 제약이 있는 집단의 경우 보건의료서비스 제공과 관련해 사각지대에 있을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김 조사관은 "정보취약계층별로 맞춤형 의약품 안전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며 "또 의약품 사고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제공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의약품 안전한 사용과 관련해서는 의료제공자 뿐만 아니라 정부, 의약품제조업, 여러 유관단체, 소비자 모두가 참여해 고려해 보아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 의약품 안전 사용 대책 세워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