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인물사진-중-수정.gif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최홍조 센터장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이 결핵에 걸리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IMF 금융위기가 결핵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는 지적이다.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최홍조 연구센터장은 어릴 때 사회경제적위치가 낮았던 사람이 결핵에 걸리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1998년 동아시아 금융위기(IMF)가 이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했다. 


결핵협회 최홍조 센터장은 고려대 정혜주 교수팀, 토론토대학 문테이너 교수팀과 함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1980~2012년까지 결핵을 진단받고 치료받은 이력이 있는 환자들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아버지의 교육수준으로 본 유년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사람이 결핵에 걸리면 일반인에 비하여 현재에도 가구소득수준이 낮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그 가능성이 1998년 IMF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약 2배로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유년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높은 사람이 결핵에 걸리는 경우에는 특별히 더 가난해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결핵은 가난의 결과이자 원인이기도 하지만 상대적으로 부유한 환경에서 결핵에 걸린 환자들의 경우 다시 더 큰 가난으로 빠지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즉, 결핵은 가난한 이들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IMF 경제 위기 거치면서 결핵으로 인한 가구소득수준 저하 약 2배 증가

 

결핵은 흔히 빈곤병으로 알려져 있으나, 결핵이 다시 가난을 초래함을 보여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에 더불어 역사적 시기에 따라 그 관계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한국은 1997년 말 금융위기를 겪었고, 그 충격은 사회 전반에 걸쳐서 나타났다. 기업의 도산이 이어졌고, 수많은 실직자가 양산되었으며, 이들 중 적지 않은 수는 거리로 밀려 나왔다. 이때 결핵과 같은 질병을 가진 사람들은 그 병으로 인해 휴직하거나 퇴직하였고, 그로 인해 경제적 곤란이 장기적으로 회복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이는 1997년 금융위기 이후 더욱 심각해졌으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에서만 더욱 크게 나타난다는 것은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경제적불평등, 사회적 이동(social mobility)과 같은 근본적인 변화가 그 시기에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의 결과가 질병으로 인해 직업을 잃을 수도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특히 경제위기 이후 다시 복귀할 직장이 사라져 버리거나, 취업이 어려워지는 등 질병과 직업, 그리고 가난의 상관관계를 짚어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결핵을 포함한 건강정책은 필연적으로 사회정책, 노동정책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는 영역임을 재확인 한 것이다. 결국, 질병의 치료가 사회·경제적인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 센터장은 “세계보건기구의 End TB 결핵 전략(결핵퇴치를 위한 세계전략)의 핵심 3대 지표 중 세 번째는 결핵으로 인해 재난적 의료비를 경험하는 가구의 비율을 0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건강보험보장 수준을 넘어서는 보편적 의료보장과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의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은 여전히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고 중등도 이상의 질병부담을 가진 상황이지만, 사회적 영향을 완화하려는 전략은 찾아보기 힘들어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질병으로 인한 생계적 곤란과 빈곤화는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라는 것을 재확인시킨 것이다. 이에 대한 정책결정자들의 전향적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저소득층 결핵 걸리면 가난 탈출 더 어려워...정책적 지원 필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