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세로확장_사진.gif
영국 미칼 크리자노프스키(Michal Krzyzanowski) 킹스칼리지런던대 객원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 유럽 환경보건센터 설립과 운영에 대해 발표하며 “유럽에서도 대기 오염으로 40만명이 조기에 사망한다는 발표가 나왔다”며 “대기 오염 문제가 유럽연합의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월경성 대기오염 협약’이 맺어지고 협약 내용이 법적 효력을 갖게 됐다”고 소개했다.

 


“장거리 월경성 대기오염 전 지구적 이슈되고 있어”


“관련 국가 참여하는 국제기구 만들어, 대책 마련해야”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이미 유럽이 겪은 ‘월경성 대기오염’ 문제가 한중일 사이에서 풀어야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다소 생소한 ‘월경성 대기오염’이란 대기 오염 물질이 국경을 넘어 주변 국가들에게 퍼지는 것을 뜻한다. 국경선이 밀접하게 붙어있는 유럽의 경우 한 나라의 오염 물질이 다른 나라로 손쉽게 넘어가는 일이 빈번한다.


네덜란드의 경우 자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40% 정도이고 나머지 60%는 주변 국가에서 발생해 네덜란드로 넘어오는 ‘월경성 대기오염 물질’로 골머리를 앓았다.


이 같은 사례는 유럽 여러 나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도 사황이 비슷하다. 비엔나시에서 오염원을 조사한 결과 미세먼지 PM10의 대부분이 먼 주변 국가에서 날아온 것이었다.


바다로 둘러싸인 스페인과 ‘월경성 대기오염’ 영향을 받고 있고 프랑스도 외부에서 날아온 대기 오염 물질이 전체 오염 물질의 40%를 차지했다.


서울대의대 환경보건센터 주최로 최근 열린 ‘기후환경건강심포지움’에 참석한 영국 미칼 크리자노프스키(Michal Krzyzanowski) 킹스칼리지런던대 객원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 유럽 환경보건센터 설립과 운영에 대해 발표하며 “유럽에서도 대기 오염으로 40만명이 조기에 사망한다는 발표가 나왔다”며 “대기 오염 문제가 유럽연합의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월경성 대기오염 협약’이 맺어지고 협약 내용이 법적 효력을 갖게 됐다”고 소개했다.


크리자노프스키 교수는 “협약 초반 (대기 오염 물질을) 어떻게 막을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며 “협약이 구체적으로 논의되면 8개의 프로토콜을 갖고 몇 가지 중요 물질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구속력을 지난 협약이 비준되고 14개 국가가 서명을 비준했다”고 밝혔다.


이어 “유럽 각국이 월경성 대기 오염을 막기 위해 자국의 오염 물질을 통제하면서 유럽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이 줄고 있다”며 “정책이 개인으로 하여금 친환경적인 생활을 하게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자노프스키 교수는 ‘월경성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기관 간 협력을 꼽았다.


대기오염이 한 국가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닌, 지구 차원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크리자노프스키 교수는 “현재 유럽은 오염을 현저하게 감축하는데 성공했다”며 “이런 사례는 아시아 북반부에 위치한 한중일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빈 잘라루딘 뉴사우스웨일즈대 교수는 아시아의 대기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빈 잘리루딘 교수는 “중국 인도 베트남 등이 참여하는 국제기구가 만들어야 한다”며 “특히 국제기구가 만들어지면 ‘남 탓’을 하지 않아야 협력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심포지엄을 주최한 서울대의대 환경보건센터 홍윤철 센터장은 “현재 동아시아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용어 정리도 돼 있지 않은 상태”라며 “중국서 이동하는 물질이 황사라는 이름 정도 밖에 없는데, 동아시아 헤이즈(haze 안개)라고 용어 정리를 해야 한다”며 “이번 심포지엄의 주요 관심사는 아태 지역 기후변화와 환경, 그리고 건강에 대한 공동의 노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유럽 겪은 ‘월경성 대기오염’, 동북아 한중일도 경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