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8(목)
 
비만_허리둘레.gif
우리나라 비만 기준이 세계보건기구(WHO) 보다 낮아, 식욕억제제 처방이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Untitled-2.gif
OECD 국가별 비만 유병률 (체질량지수 30kg/㎡ 이상, 15세이상). (자료제공=남인순 의원실)

 

4.gif
성인 비만진단 기준. (자료=보건복지부)

 

 

한국인 비만 유병률...국내기준 적용시 33%, WHO기준 5.3%로 차이 커


남인순 의원 “식욕억제제 처방 증가, 낮은 비만기준 영향 의심”


“장기 복용시 폐동맥고혈압, 심장질환 등 부작용 있어”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우리나라 비만 기준이 세계보건기구(WHO) 보다 낮아, 식욕억제제 처방이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WHO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OECD 국가를 비롯한 외국에서는 정상체중의 기준을 체질량지수(BMI) 25㎏/㎡이하를 정상으로 보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23㎏/㎡ 이하를 정상으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체질량지수 23~24.9㎏/㎡를 비만전단계, 25~34.9㎏/㎡가 비만(1단계/2단계)이고, 35㎏/㎡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보는 데 반해, 서구에서는 체질량지수 25~29.9㎏/㎡는 과체중으로 분류하고, 30㎏/㎡이상은 비만(1단계/2단계), 40㎏/㎡이상은 고도비만으로 분류하여 차이가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비만기준이 다른 이유는 우리나라는 2000년 제정된 WPRO(WHO 서태평양지부)의 비만기준을 사용하고 있다”며 “WPRO가 2011년부터 WHO와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기존의 기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질병관리본부가 남 의원에 제출한 ‘주요국간 비만 유병률 비교’자료를 보면, 국내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BMI) 25kg/㎡이상에서 비만유병률은 OECD 평균 53.9%, 한국 33.4%로 나타났으나, WHO 비만기준인 체질량지수(BMI) 30kg/㎡이상에서 비만유병률은 OECD 평균 19.4%, 한국 5.3%로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ECD 국가별 비만 유병률’ 자료에 따르면, WHO 기준인 체질량지수 30kg/㎡이상으로 할 경우 우리나라는 5.4%로 OECD 회원국 중 일본(4.4%)를 제외하고 비만 유병률이 가장 낮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낮은 비만 기준으로 인해 식사장애 환자가 증가하고 식욕억제제 사용이 늘어나는데 있다.


지난 2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남인순 의원은 “지난 5년간 향정신성 식욕억제제와 비향정신성 식욕억제제 사용이 각각 37%, 126% 늘었다”며 “식욕억제제를 장기 복용할 경우 폐동맥고혈압, 심장질환 부작용이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주사제 식욕억제제의 경우, 장기 복용할 경우 췌장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남 의원은 “우리나라 비만기준도 국제적 기준에 부응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정상 체중의 범위가 23kg/㎡이하로 되어있는데, 이는 세계보건기구나 일본 기준에 비교해도 지나치게 낮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하지만 기본 방향은 (남인순 의원의) 말이 맞다”고 답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WHO보다 낮은 비만 기준, ‘부작용 우려’ 식욕억제제 장기 복용 초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