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코로나19에 확진된 혈액 투석 환자들이 기저질환이 없는 확진자에 비해 사망률이 75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신장내과 전문의들은 코로나19 오미크론 유행이 확산되는 가운데 혈액 투석 환자들을 위한 별도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신장학회(신장학회)는 2020년 2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코로나19 확진자 중 혈액투석 환자들의 예후를 조사한 결과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에게 비해 사망률이 75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신장학회 코로나19 대응팀은 206개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 투석환자를 분석한 결과 380명의 투석 환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되었고 이 중 85명이 사망해, 22.4%를 차지했다.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코로나19 감염 투석환자들 10명 중 6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코로나19 감염으로 사망한 혈액투석환자의 평균 연령은 66세로 고령 환자가 많았고, 환자 10명 중 6명에서 발열과 기침 증세가 있었다.
요양병원 입원 환자들이 사망 위험이 높았고 중환자실 입원이나 인공호흡기 치료도 더 많았다.
신장학회 코로나19 대응팀은 “이런 결과는 투석 환자들이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동반 질환이 많고 노인 환자의 비율이 높으며,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이라며 “외국의 경우와 비교하면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코로나19 감염 투석 환자들의 사망률은 약 30% 정도로 보고되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투석 환자들은 코로나19감염에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코로나19 확진자들이 급증하면서 투석 환자들의 코로나19 감염도 크게 늘고 있다.
혈액투석 환자들은 주 3회 투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없는 확진자 처럼 재택치료나 생활치료센터 입소가 불가능하다.
코로나19 발생 초기에는 투석거점병원 등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았으나, 최근 투석환자 중 확진자가 증가하며 외래투석센터에서 격리 투석을 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신장학회 코로나19 대응팀은 “입원을 하지 않고 외래투석을 받는 경우에는 환자 상태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 신속히 입원을 결정해야 한다”며 “환자 이동, 동선 관리, 환경 소독 등 관리해야 할 사항이 더욱 많아지고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한신장학회 양철우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혈액 투석 환자의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속한 격리투석과 전원시스템이 최우선”이라며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일반인 뿐 아니라 투석환자들의 코로나19 감염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비해 이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19 투석전담 의료기관에 대한 전국적인 네트워크구축과 전문인력 확보, 투석실 연계를 위한 정보공유 및 별도의 긴급 소통선이나 지역간 원활한 환자이동 등 별도의 관리체계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