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 심장을 열고 닫으며 피를 순환하게 하는 ‘심장의 문’ 대동판막.
이 대동맥판막이 돌처럼 굳어 단단해지면서 심장의 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굳게 닫혀 잘 열리지 않는 것이 대동맥 판막 협착증이다. 이때 환자는 경피적 대동맥판막 삽입술, 일명 TAVI 시술을 받아 대동맥 판막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TAVI 시술은 수술이 아닌 시술이기 때문에 가슴을 열지 않는다. 피부를 뚫어 판막이 접혀서 들어있는 도관을 집어넣고 엑스(X)선 투시 하에 심장에 새로운 판막을 펼친다. 말 그대로 굳어진 판막 위에 새로운 판막을 삽입하여 치환하는 것이다.
TAVI 시술의 권위자인 이대목동병원 순환기내과 강인숙 교수는 “TAVI는 개흉을 하지 않아 고령의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들에게 비교적 부담이 덜 가는 매우 중요한 시술이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TAVI 시술을 모든 병원에서 시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5년 이상의 중재 시술 임상 경험이 있는 순환기내과 의사가 2인 이상 소속된 병원 △5년 이상의 중재 수술 임상 경험이 있는 흉부외과 의사가 2인 이상 소속된 병원 △연간 개흉 수술 건수가 일정하게 유지된 병원 △대동맥 관련 시술과 심혈관 중재술의 건수가 일정하게 유지된 병원 등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TAVI 시술을 할 자격이 생긴다.
강인숙 교수는 “TAVI 시술이 가능한 기관과 의사의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휼륭한 공방에서 공인된 장인만이 집도할 수 있는 엄격한 시술”이라고 말했다.
어느덧 3년 차에 접어든 이대목동병원의 TAVI 시술팀은 강인숙 교수를 주축으로 순환기내과, 흉부외과, 마취과,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 등 공인된 팀원들이 최고의 팀워크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3년 간 시술 성공률 100%라는 기록을 갖고 있기도 하다.
강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방치할 시 급성 심장 돌연사를 일으키는 매우 위험한 질병”이라며 “하지만 TAVI 시술 등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큰 부담 없이 건강을 되찾고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 너무 두려워하지 않고 전문의와 잘 상의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협심증·심근경색 환자 신체활동량 적으면 사망률·입원율 높아져 주의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정미향 교수팀, 건보공단 빅데이터 백만여명 대상
신체활동량 늘리면 사망률 22%, 입원율 13% 감소 효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사적모임 제한 등으로 신체활동이 감소하는 가운데, 심혈관질환 환자는 신체활동이 적어지면 폐렴(하기도감염)에 따른 사망률과 입원율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주목된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정미향 교수,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상욱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만18세 이상 협심증·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환자 1백만여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과 폐렴에 따른 사망률과 입원율의 상관관계를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 신체활동이 적어지면 사망률과 입원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신체활동량과 사망률 및 입원율과의 선형 연관성을 가정한 결과, 신체활동량이 매주 500 MET min씩 늘어나면 폐렴에 따른 사망률은 22%, 입원율은 13%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체활동량이 하기도 감염에 미치는 기전은 아직 뚜렷하지는 않으나 신체활동량이 늘어나면 염증이 감소되고, 면역반응이 강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미향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환자가 조금이라도 신체활동을 늘리게 되면 하기도감염으로 인한 입원이나 사망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이런 효과는 75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코로나19로 신체활동이 적어진 요즘, 심혈관질환 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점진적으로 신체활동을 늘리는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JAHA) 3월호에 게재되었다.
심방세동의 시술적 치료 후 재발의 새로운 예측인자 제시
고려대안암병원 심재민 교수팀 연구 결과
심방세동은 심장리듬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며 뇌경색, 치매, 심부전, 및 사망률 증가 등 다양한 중증 합병증이 호발한다. 심방세동의 치료는 고주파를 이용한 전극도자절제술을 통해서 이뤄지며 재발률의 예측은 전통적으로 좌심방의 직경 측정을 통해서 이뤄져왔다.
그런데 최근 고려대안암병원 부정맥센터 연구팀은 좌심방의 구조적 변화보다 좌심방의 전기신호의 변화를 심방세동의 더 발전된 예측도구로 제시했다.
고려대안암병원 부정맥센터 연구팀은 심방세동으로 전극도자절제술을 받은 3,120명의 환자 중, 심장의 전기해부학적 매핑을 실시한 537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심방세동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으로 좌심방 근육의 손상 이 최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좌심방 근육의 손상은 전기생리학적으로 저전압 조직으로 관찰된다.
즉, 저전압 조직이 많이 관찰된다는 것은 좌심방의 근육 손상이 심하며 심방세동이 많이 진행된 상태라는 것이다.
연구결과 이 저전압 조직의 비율이 높을수록 심방세동에 대한 시술적 치료 후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밝혔다.
부정맥센터 심재민 교수는 “심방세동을 치료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부정맥 유발 전기신호의 발생부위를 찾아 정밀하게 치료하는 전극도자절제술”이라며 “전극도자절제술을 통해 이상 전기신호를 차단하여 심방세동의 발생을 막는 것이 핵심이며 최근에는 고해상도 3차원 맵핑 (mapping) 기술을 통하여 저전압 조직 등 절제술을 시행해야 하는 표적을 더욱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정맥센터 김윤기 교수는 “저전압 조직의 존재가 심방세동의 시술적 치료 후 예후 예측 인자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며 “향후에는 저전압 조직을 시술적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이 심방세동의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