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1-28(화)
 

여의도성모병원 이세원 교수 “적정 체중 유지와 규칙적 운동, 고관절 위험 낮춰”


[현대건강신문] 당뇨병 환자가 자신의 체중 중 10% 이상 감량할 경우 고관절 골절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당뇨병학회는 당뇨환자에게 식이조절, 운동, 체중감소 등 생활습관 변화를 권고한다. 특히, 당뇨 합병증 예방을 위한 체중조절은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관절 골절은 대표적인 골다공증성 골절로 최근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 빈도가 크게 증가하여 사회적 비용이 큰 골절이다.


당뇨가 없는 일반 성인이 목적을 가지고 체중 감소를 할 경우, 골밀도와 골절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는 있지만, 당뇨 환자의 체중변화와 고관절 골절 위험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여의도성모병원 정형외과 이세원 교수 연구팀은 제2형 당뇨환자의 체중변화와 고관절 골절 발병 위험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2009~201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건강검진시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성인인 144만7,579명을 체중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10% 이상 체중 감소군은 체중 유지군에 비해 고관절 골절 위험도가 1.6배 높았다.


이어 체중이 △10% 이상 증가 △10~5% 감량 △5~10% 증가 순으로 고관절 골절 위험도가 높았고, 체중유지 그룹이 가장 낮았다.


또한 운동강도면에서, 불규칙적으로 운동 강도를 높인다고 해서 고관절 골절 위험도가 크게 감소하지는 않았다. 반면 규칙적인 운동은 고관절 골절 위험도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연구팀은 적절한 체중유지가 고관절 골점 위험을 낮추는 반면 급격한 체중 감소나 체중증가는 오히려 고관절 골절 확률을 높인다는 점을 밝혔다. 즉, 적극적인 체중 감소보다는 정기적인 운동으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고관절 골절위험 감소에 효과가 크다는 것.


단, 비만이 있는 당뇨 환자는 당뇨 합병증 예방을 위해 체충 조절은 꼭 필요하나 고관절 골절 위험을 높일 수 있기에 골절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세원 교수는 “제2형 당뇨환자는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고관절 골절을 가장 줄일 수 있다”며 “운동 강도를 무작정 늘리는 것보다는 정기적인 운동이 고관절 골절 예방에 가장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 골다공증(영향력지수=4.507) 2022년 4월호에 게재됐다. 


 


대사이상지방간질환 중증도 높을수록, 간 섬유화 위험도 증가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조용균 교수 연구 발표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대사이상의 중증도에 따라 지방간의 간섬유화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대사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간질환은 간에 과도한 지방이 침착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원인에 따라 과도한 음주에 의한 알코올지방간질환과 과체중, 비만으로 인한 비알콜지방간질환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바이러스 간염, 자가면역간염 등 다른 원인의 만성간질환 환자에서 지방간이 많이 발생하면서 대사 이상을 중심으로 하는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이라는 개념이 생겼다.  


즉,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은 간질환의 원인에 상관없이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등 대사이상 동반 여부로만 판단하는 하는 새로운 개념인 것이다.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조용균·손원 교수와 영상의학과 권헌주 교수는 2015년~2018년도 사이에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중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 967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탄성도 검사를 이용하여 간섬유화를 측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간 섬유화 위험도는 △과체중 그룹에서 1.3% △비만 그룹에서 5.5% △체중은 정상이지만 대사 질환이 2개 있는 그룹에서 6.4%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질환이 있는 그룹에서 18.9%로 나타나, 간 섬유화에 대사 질환이 가장 큰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허리둘레 이상, 혈압이상, 고지혈증, 비만 등 대사질환의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간 섬유화의 위험도가 증가해, 대사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간 섬유화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손원 교수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대사이상지방간질환에서 간 섬유화의 위험도를 아시아인에서 분석 및 검증한 연구”라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특히 손 교수는 “지방간 환자에서 동반 대사질환의 확인 및 치료가 간 섬유화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소화기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임상 위장병학 및 간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5월호에 게재되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 10년 새 2배 증가

미즈메디병원 임신성당뇨병 선별 검사 자료 분석



코로나로 결혼을 미루다가 작년 초 결혼을 하고 바로 첫아이를 임신한 이 모씨(38세).

임신 25주에 임신성 당뇨 검사를 하였는데 1차선별 검사수치에 이상이 있어 3시간에 걸친 진단검사를 진행하여 임신성 당뇨병 판정을 받았다.


전혀 증상을 느끼지 못했던 이씨는 당황스러웠지만 산부인과와 내분비내과 진료를 함께 받으면서 영양요법, 운동, 인슐린 주사를 통해 혈당을 조절하였고 다행히 관리가 잘 되어 건강하게 순산하였다.


미즈메디병원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10년동안 임신성당뇨병 선별검사를 분석한 결과 총 27,127명 중 7%에 해당되는 1,744명의 임신부가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되었다. 


10년 동안의 임신성 당뇨병 진단비율을 살펴보면 △2012년에는 5.3% △2017년도에는 7.8% △2021년에는 10.1%로 꾸준히 증가하여 10년 동안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즈메디병원 산부인과 김민형 과장은 “임신성당뇨병은 다음(물을 많이 마심), 다뇨(소변을 많이 봄), 다식( 많이 먹음)등의 증상이 있는 일반 당뇨병과 달리 자각증상이 없어 오로지 혈액검사를 통한 혈당수치로만 진단할 수 있다”며 “임신성당뇨병은 임신 호르몬이 인슐린 대사와 연계되어 발생하는 질환이고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는 나이,체질량 지수와 연관이 깊기에 최근 임신부의 연령이 증가하고, 과체중, 비만 임신부가 증가하면서 임신성 당뇨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같은 병원 오은숙 과장은 “임신성당뇨병은 나이와 체중에 비례하여 꾸준히 증가하는 질환”이라며 “고령, 비만 외에도 당뇨병 가족력이 있거나 이전 임신에서 4.0kg이상의 거대아를 출산한 경험이 있는 경우, 임신 초중기 체중이 많이 증가한 경우, 식사 습관이 불규칙하거나 빵, 케이크, 과일 등의 단순 당질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할 경우에도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당뇨환자 체중 조절시 고관절 골절 위험 주의해야 외(外)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