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의료연구원 “온라인 미디어에서 확산되는 건강정보, 과학적 근거 확인 필요”
- “전립선비대증, 증상 심하지 않으면 약물로 치료해야”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전립선비대증 예방 등의 목적으로 쏘팔메토 추출물이 TV 홈쇼핑 등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의사나 한의사까지 내세워 효과를 광고하고 있지는 쏘팔메토 추출물(Serenoa repens)이 전립선비대증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의연)과 한국과학기자협회(과기협)가 국민이 궁금해하는 온라인 미디어상의 건강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건강정보의 과학적 근거를 확인해본 결과 쏘팔메토 추출물은 전립선비대증에서 임상적인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쏘팔메토 추출물은 톱야자나무의 열매 추출물로 전립선 세포의 증식속도를 둔화시켜 전립선 건강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건강능식품으로 허가를 받았다.
쏘팔메토 추출물은 일반약국이나 홈쇼핑 등을 통해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에 보의연이 의료기술재평가사업으로 쏘팔메토 추출물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했다.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이 커져 요도를 압박하고 방광을 자극하는 것을 말하며, 50세 이상 남성의 약 50%가 전립선비대증이 나타난다.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으로는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함 △소변을 본 후 잔뇨감 △소변 줄기가 끊기거나 약함 △소변을 볼 때 힘듦 같은 배뇨 시 증상과 △소변이 자주 마려움 △소변을 참기 힘듦 △자다가 소변을 보기 위해 자주 깨는 증상 등이 있다.
전립선비대증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약물로 치료한다. 대표적으로는 전립선이 감싸고 있는 요도와 방광경부의 긴장을 감소시켜 소변 배출을 향상시키는 약물인 알파차단제 성분의 탐스로신과 전립선 크기를 감소시켜주는 약물인 5-알파 환원효소 차단제 성분의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등이 있다. 약물치료로도 충분한 증상 개선이 없는 경우 여러 방식의 전립선비대증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면, 전립선비대증에서 쏘팔메토 추출물은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보의연은 “쏘팔메토 추출물 복용자와 미복용자를 비교했을 때 최대 소변 속도와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에서 일부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면서도 “임상적으로 중요한 전립선 증상 점수, 전립선 크기, 잔뇨량 개선 등 대부분의 결과에서 효과가 없었다”고 밝혔다.
일반적인 전립선비대증 치료 약물인 알파차단제와 5-알파 환원효소 차단제들과 비교한 결과에서도 알파차단제가 쏘팔메토 보다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 개선에서 더 효과적이었고, 5-알파 환원효소 차단제가 쏘팔메토 보다 전립선 크기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다.
전립선 증상 점수 개선, 최대 소변 속도 증가, 잔뇨량 감소 등에서는 기존의 전립선비대증 치료 약물들이 쏘팔메토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와 효과의 차이가 없다는 결과들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보의연은 “전립선비대증에 쏘팔메토 추출물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 결과들을 종합했을 때 현재 쏘팔메토 추출물이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결론을 뒷받침할만한 과학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쏘팔메토 추출물에 대한 부작용은 △사정 장애 △발기부전 △두통 △어지럼증 및 설사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 등이 있었다.
보의연은 다만 “쏘팔메토 추출물의 부작용 발생은 쏘팔메토를 복용하지 않은 경우나, 전립선 치료약물을 복용한 뒤 발생한 부작용과 비교해 높지 않았다”며 “대부분 경미한 부작용으로 회복 가능하고 심각한 부작용 발생이 없다고 보고되었다”고 전했다.
특히 “전립선비대증의 원인과 증상은 여러 가지로 전립선비대증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배뇨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며 “하지만, 자가진단을 통해 전립선비대증 치료 목적으로 또는 증상의 개선을 기대하며 쏘팔메토를 복용할 경우 질환에 대한 정확한 원인 및 진단이 늦어지고, 증상이 악화된 후 치료를 시작하게 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광협 보의연 원장은 “온라인 미디어의 발전으로 국민이 쉽게 건강정보를 찾을 수 있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과학적 근거가 없는 내용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는 점은 우려스럽다”며 “배뇨의 어려움이 있거나, 쏘팔메토 복용을 고려할 경우, 먼저 해당 분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