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6(화)
 
  • 지난 7월부터 생물학적 제제 콜드체인 시행 후 인슐린 배송 급감
  • 당뇨 환자들 인슐린 품귀 현상에 어려움 겪어
  • 강기윤 의원 “준비 부족으로 환자단체와 소통했어야”
  • 서영석 의원 “환자 건강 유지에 치명적, 추가 의료비 발생”
  • 식약처장 “계도기간 끝나기 전까지 대책 마련”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오유경 식약처장은 지난 7일 국정감사에서 “계도 기간 동안 환자단체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했다”며 “의약품 유통은 보건복지부(복지부)가 담당인데, 계도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복지부와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오 처장이 국정감사에 앞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인슐린 등 생물학적 제재의 콜드체인(cold chain, 저온유통체계)을 시행한 이후 인슐린 유통이 줄며 당뇨환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지난 7월부터 △생물학적 제제 △냉장·냉동의약품은 자동온도기록장치나 일반 온도계를 선택해 설치하는 일명 ‘콜드체인’을 의무화하는 규칙을 시행했다.


콜드체인제도가 시행된 이후 의약품 유통업체들은 자동온도기록장치를 교체하는 비용에 부담을 느껴, 인슐린 배송을 대폭 줄이고 심지어 인슐린 유통 마진을 이유로 유통을 포기했다.


결국 그 피해는 당뇨환자들에게 돌아가, 환자들은 인슐린 품귀 현상을 겪어야 했다.


식약처 국정감사(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은 인슐린 유통업체와 환자단체와 소통하며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지난 7일 열린 식약처 국감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기윤 의원(국민의힘)은 “1형 당뇨 환자는 인슐린 접종을 한 번만 거르더라도 고혈당이 발생해, 심하면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다”며 “콜드체인으로 인한 인슐린 공급 문제로 당뇨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도 “이번 인슐린 대란은 식약처가 유통업계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고 콜드체인을 밀어붙인 결과”라며 “콜드체인을 강화하는 것은 나쁘지 않지만 업계 입장에 맞춰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환우회는 (콜드체인 시행으로) 당뇨 환자들이 건강 유지에 치명적이고 추가 의료비가 발생했다고 밝혔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


인슐린 대란이 현실화되자 식약처는 계도기간을 내년 1월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강 의원은 “당뇨 환자들은 어느 약국에 재고 인슐린이 얼마나 있는지 인터넷 카페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 인슐린 찾기에 나서고 있다”며 “계도기간을 연장하기 보다 지역별 인구 비례에 따른 인슐린 거점 약국을 지정해 운영하는 등 환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계도 기간 동안 환자단체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했다”며 “의약품 유통은 보건복지부(복지부)가 담당인데, 계도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복지부와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인슐린 공급 대란 유발 콜드체인...식약처장 “대책 마련”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