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4-02(일)
 
  • 강동경희대병원 차재명 교수 “암 조기 검진 목적 PET-CT 검진 바람직하지 않아”
  • “국내 도입한 PET-CT 186대, OECD 평균 보다 많아”
  • 분당서울대병원 이원우 교수 “위험성 강조하면 암 환자 검사 부담 느껴”
  •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 “무증상인 사람 할 필요가 있나”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폐암, 대장암 등 암 진단에 사용되는 PET-CT(양전자 단층촬영)를 무증상자에게 암 검진 목적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PET-CT 작은 암 조직도 발견할 수 있어, 건강검진센터에서는 조기 암 검진 상품으로 PET-CT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 2일 의학한림원 주최로 열린  ‘과잉 건강검진 이대로 좋은가’ 포럼에서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차재명 교수는 PET-CT 검사의 장점과 단점을 소개하며 무증상인 경우 검사에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차 교수는 PET-CT 검사의 장점으로 △여러 종류의 암에 반응 △한 번에 전신을 검사로 들었고, 단점으로 △높은 방사선 조사량 △고가의 검사비 △비뇨생식기계 조양, 저대사성 종양, 크기가 작은 암 발견에 한계로 꼽았다.


차 교수는 “PET-CT로 한 번에 암을 모두 찾고자하는데 건강한 집단에서는 유용성이 낮을 수 있다”고 밝혔다.


PET-CT를 활용한 건강검진이 활발해진 이유를 공급 과잉으로 꼽은 차 교수는 “우리나라에 도입된 PET-CT는 186대로 인구 100명당 3.6대로 OECD 평균보다 높다”며 “1/4이 10년 이상된 제품으로 제대로 검진이 되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미국 예방학의회와 핵의학회는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PET-CT를 사용하는 것을 권고하지 않고 있다.


이를 근거로 차 교수는 “저희 병원 검진센터장으로 조심스럽고 검진은 진료 영역이 아니어서 환자의 선택권도 존중돼야 한다”면서도 “증상이 없는 성인에게 암을 조기에 찾아낼 목적으로 PET-CT 검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 대한핵의학회 입장을 밝힌 이원우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는 “의학한림원에서 이런 것을 하면 안된다는 식으로 공표하는 것이 부담된다”며 “PET-CT 기술이 발전하는 상황에서, 이번 발표로 암 환자들이 (PET-CT) 검사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은 “문제 핵심은 무증상인 사람에게 (PET-CT) 검사를 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라며 “전문가 집단에서 이에 대한 권고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원우 교수는 “40대 미만은 암 위험성 없으면 권고하지 않지만 환자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명승권 교수는 “외래에서 PET-CT 전신 검사로 암을 한 번에 찾고 싶다는 환자들이 많은데, (이번 포럼은) 의학한림원 차원에서 검사의 장단점을 알리는 목적이 강하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획-검진④] “무증상자 PET-CT로 원스톱 암 검진, 불필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