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약조합 조헌제 연구개발본부장,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 운영계획 밝혀
- 바이오 전영역 기술사업화·투자 종합플랫폼 본격화 해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향후 기술, 시장의 변화로 인한 유망 기술 파이프라인의 수요가 매우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파트너링을 통한 유망기술과 아이템의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하 신약조합) 조헌제 연구개발본부장은 15일 서울 당산동 신약조합 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 운영계획을 밝혔다.
지난 2월 24일 발족한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는 유망 바이오벤처·스타트업의 전국단위 대규모 발굴, 투자, 성장지원, 제휴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바이오벤처·스타트업과의 투자, 연구개발 제휴를 통한 오픈이노베이션을 모색하는 바이오헬스산업계와 투자기관, 바이오클러스터, 대학 및 연구기관 등 민간·공공 기술지주회사, 스타트업엑셀러레이터, 창업지원기관 등이 공조하는 새로운 오픈이노베이션 핵심 플랫폼이다.
투자협의체는 투자, 성장지원, 협업대상 유망 기술 및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헬스분야 산·학·연·벤처·스타트업 발굴, DB 구축 등 정보플랫폼 구축, 수요-공급자간 정기적 교류 등을 통해 투자 및 협업을 연계하고 대학, 출연(연) 등이 보유하고 있는 유망기술·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전략적 기술창업을 통하여 기술사업화와 연계함으로써 현행보다 체계적이고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산·학·연·벤처·스타트업·투자기관간 역할분담형 투자, 제휴 환경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조헌제 본부장은 “유망 신약 파이프라인이 고갈되고 있다.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의 유망 기술‧아이템 발굴이 시급하다”며 “글로벌 기업의 신약 파이프라인 수요 증대에 따라 우수 유망 기술 및 파이으라인의 공급 활성화가 예측된다”고 말했다.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와 시장에서의 수요환경 변화로 국가 의료재정 절감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의 필요성은 증대하고 있지만, 기업 단독으로 연구개발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조 본부장은 “기업 단독으로는 자금, 인력, 정보 등 R&D 역량의 한계로 인해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기술적 난체를 극복하기 위해 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외부 자원 활용의 필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향후 기술, 시장의 변화로 인한 유망 기술‧파이프라인의 수요가 매우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파트너링을 통한 유망 기술‧아이템의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는 △유망 바이오벤처·스타트업 정보 발굴 및 DB화를 통한 인터렉티브 정보 플랫폼 구축 △IR, 투자포럼 등 정기 교류회 개최 및 바이오스타트업 전국포럼 등 대규모 투자·제휴의 장 운영 △산·학·연 연계 기술창업법인 설립 지원 △교육·연수사업 등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신기술투자조합 및 개인투자조합을 결성하여 펀드 운영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조 본부장은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가 본격 운영에 착수하면 지역별 바이오벤처·스타트업기업의 전국단위 투자유치와 제휴 협력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한계를 극복하여 전국단위의 투자 및 제휴가 활성화될 것”이라며 “또한 디지털 플랫폼, 의료기기 등 타 분야와의 융복합기술개발 가능성 제고를 통한 미래 첨단바이오 기술과 플랫폼 확보 등 사업영역 확대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기업, 중견·중소기업이 기업분할 형태로 설립한 벤처·스타트업기업에 대해서도 3자 투자유치, 연구개발 제휴 촉진을 통한 사업화 촉진 및 시장가치 제고도 기대되면서 오픈이노베이션의 범위 확장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조헌제 본부장은 “산·학·연·벤처·스타트업 간 기술이전, 라이센싱, 공동연구, 투자 등을 통한 오픈이노베이션은 산업 생산성 제고를 넘어 글로벌 성과 창출을 위한 불가피한 영역으로 자리잡았다”며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는 바이오 전영역 기술사업화·투자 종합플랫폼 가동을 본격화 해 전국단위 바이오헬스산업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를 위해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