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연구팀 ‘저항성 고혈압 환자의 성별에 따른 특징’ 첫 규명
- 남성, 여성보다 발병 8.2년 빠르고,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높아
[현대건강신문] 고려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김응주 교수 연구팀이 저항성 고혈압 환자의 성별에 따른 처방 패턴 및 임상적 예후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고려대안암·구로·안산병원의 전자의무기록을 구조화한 데이터(OMOP-CDM)를 활용해, 2017년 1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에 내원한 저항성 고혈압 환자 4,926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처방 패턴 및 임상적 예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저항성 고혈압 남성 환자의 평균 연령이 61세로 69세인 여성에 비해 8세 낮았으나, 심혈관 위험도는 오히려 고위험군에 속한 남성 환자 비율이 42.5%로 여성 환자의 35%에 비해 높았다.
또한 3년간의 추적관찰결과 심근경색 및 신장투석 발생률은 남성에서, 뇌졸중 및 치매 발생률은 여성에서 높았다. 통계적으로 보정한 상대 위험도를 살펴보면, 저항성 고혈압 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에 비해 사망률은 2.52배, 심근경색 발생률은 1.87배,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률은 1.44배 높았다.
당뇨병학회, 의학회 최초 유튜브 구독자 10만 명 넘어
지난 3년간 당뇨병 환자의 교육 위해 꾸준히 당뇨병 교육 영상 올려
대한당뇨병학회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당뇨병의 정석’이 구독자 10만명을 돌파해 ‘실버 버튼’을 수령했다.
이에 대한당뇨병학회 원규장 이사장과 윤건호 전임이사장은 ‘당뇨병의 정석’에서 실버버튼 언박싱 기념 영상을 공개하며 의학회 최초로 구독자 10만 달성한 소감을 전했다.
당뇨병은 국내에서 해가 거듭할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성인의 6명 중에 1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의 관심이 대단히 높아지고 있다. 유튜브, 블로그 및 각종 미디어를 통해 당뇨병 관련 정보가 넘쳐나고 있지만 학회차원에서 당뇨병 최고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정확한 정보를 대중들에게 제공하고자 ‘당뇨병의 정석’을 제작하게 되었다는 제작 동기를 밝혔다.
당뇨병학회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당뇨병과 연관된 진료, 간호, 영양, 운동 분야의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진료실 안에서 충분히 전하지 못하는 내용들을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활용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딱딱한 내용보다는 장거리 여행시에 당뇨병을 관리하는 팁, 당뇨병 환자가 지켜야 될 먹거리, 생활 속의 소소한 운동 방법 등 생활밀착형 정보를 핵심 내용으로 다루고 있어 당뇨병에 관심이 많은 대중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다낭난소증후군과 자녀의 비만과의 관계 규명
고려대안암병원 산부인과 박현태 교수팀 분석
특정 성별에서 영유아기 비만 위험도 1.6배 높아
고려대안암병원 산부인과 박현태, 조금준, 류기진 교수 연구팀이 다낭난소증후군과 자녀의 비만과의 관계를 규명했다. 다낭난소증후군이 있는 경우 출생한 여성자녀가 영유아기에 비만이 될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결과다.
다낭난소증후군은 가임기 여성에서 가장 흔한 생식내분비 질환으로써, 비만 및 과체중을 포함한 여러 대사질환과 연관 있음이 밝혀졌으나, 자녀들의 영유아기 성장과 비만 위험에도 유의한 영향이 있는지 규명된 연구는 거의 없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데이터베이스와 영유아 건강검진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결합하여,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단태아 분만을 한 총 131,805명의 여성들과 그들에게서 태어난 자녀들의 생후 42개월에서 80개월 사이에 측정된 체질량지수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다낭난소증후군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 비해서 여성인 자녀가 영유아기 비만일 위험이 1.56배 높았다. 특히 정상체중인 여성들 중에서는 다낭난소증후군이 있으면 여성 자녀가 생후 42~54개월과 66~80개월에 비만일 위험이 각각 1.94배, 1.85배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연관성은 자녀가 남성인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결과는 국내 최초로 대규모 인구기반연구를 통해 다낭난소증후군과 자녀의 영유아기 성장 및 비만 위험이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규명한 연구이다. 연구팀은 “서양에 비해 한국에서는 정상 체중인 다낭난소증후군의 비율이 높은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정상체중일지라도 다낭난소증후군이 있으면 자녀의 영유아기에 비만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