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6(화)
 
  • 혈액투석 환자 사망률, 일반 환자에 비해 2배 이상
  • 한림대강남성심병원 박혜인 교수 “코로나19 끝나도 투석하는 인공신장실 감염 위험”

[현대건강신문]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 혈액투석 환자는 정상 신기능 환자에 비해 병원 내 사망률이 약 2.1배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병원 내 사망 △중환자실 입원 △인공호흡기 치료 등 3가지 변수 중 한 가지라도 발생한 사례는 3.5배 가량 더 높았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신장내과 박혜인 교수는 ‘국내 혈액투석 환자들의 코로나19 관련 임상양상과 예후’ 논문을 통해 이와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말기신부전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중증도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신장학회 조사에 따르면 말기신부전 환자 수는 2011년 6만3341명에서 2021년 12만7068명으로, 10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박혜인 교수가 속한 대한신장학회 코로나19 대응팀(위원장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신장내과 이영기 교수)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혈액투석 환자와 정상 신기능을 가진 환자의 예후를 비교할 연구를 진행했다.


코로나19 유행 초기였던 2020년 2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신장내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206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확진 혈액투석 환자 380명의 임상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후 질병관리청에서 공개한 코로나19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정상 신기능을 가진 환자와 혈액투석 환자의 코로나19 감염 양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코로나19에 감염된 혈액투석 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은 22.4%로, 정상 신기능 환자의 5배가 넘었다.


혈액투석 환자군과 일반 환자군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방법을 사용했을 때, 일반 환자에 비해 혈액투석 환자의 병원 내 사망 위험도가 2.1배가량 높았다. 같은 방법으로 병원 내 사망, 중환자실 입원, 인공호흡기 치료를 포함한 복합결과를 비교할 경우 혈액투석 환자의 복합결과가 3.5배가량 더 높았다.


특히 코로나19 확진 혈액투석 환자 중 사망까지 이른 환자는 나이가 많았고 호흡곤란이 더 많이 나타났다. 요양병원에서 혈액투석을 받았을 가능성도 더 높았다.


박혜인 교수는 “코로나19는 끝나가지만 투석을 진행하는 인공신장실에는 여전히 다양한 감염 위험이 상존한다”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후에도 투석 환자들의 생명을 살리는데 도움이 될 인공신장실 내 감염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응팀의 이영기 위원장은 “투석 환자들은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동반 질환이 많고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코로나19에 더 취약하다”며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투석 환자들은 더 철저하게 개인위생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혈액투석 환자, 코로나19에 특히 취약...사망률 2배 높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