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외활동 늘며 무리한 움직임으로 발목 삐거나 꺽이는 부상 늘어
- 이대목동병원 강호원 교수 “발목 인대손상 방치 금물”
- 연세건우병원 박의현 원장 “발목 건강 지키는 아킬레스건”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야외활동이 늘면서 무리한 움직임으로 발목을 삐거나 꺾이는 부상이 늘고 있다.
전문의들은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몸을 움직이면 발목 부상을 입을 수 있다고 준비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운동 중 흔하게 발생하는 발목이 꺾이며 인대 손상을 입을 경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환자 10명 중 2~3명에서 ‘만성 발목 불안정증’으로 진행해, 발목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이대목동병원 정형외과 강호원 교수는 “발목 인대손상 시 방치는 금물”이라며 “발목 인대손상 치료로 과거에는 석고고정을 많이 시행했지만, 최근 석고고정은 걸을 수 없을 정도로 발목인대가 완전 파열 된 경우에만 7~10일 이내로 제한적으로 사용하며 보조기를 착용하고 조기에 보행을 시작하는 기능적 치료를 선호한다”고 밝혔다.
발목 건강을 지키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인대나 연골이 아니라 바로 아킬레스건이란 지적도 나왔다.
연세건우병원 박의현 원장(정형외과 전문의)는 “지금 발목을 위 아래로 까딱여보자. 움직이는 것은 발목이지만 축이 되는 곳은 아킬레스건”이라며 “아킬레스건이 발목의 운동을 좌우한다. 이런 아킬레스건이 제대로 수축 또는 이완하지 않으면 발목의 움직임이 둔해진다”고 설명했다.
박 원장은 “아킬레스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발을 내딛을 때 발 전체가 아닌 발 뒤꿈치가 먼저 닫게 돼, 오랜 시간 발 뒤꿈치가 몸의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면 염증이 발생해 족저근막염으로 발전한다”며 “아킬레스건이 제대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스트레칭과 운동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강호원 교수는 “발목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스트레칭이 가장 효과적”이라며 “운동 전후로 아킬레스 스트레칭을 하고, 운동화 속에 본인의 발모양과 잘 맞는 안창을 깔아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다음은 발목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