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4(월)
 
  • 서울시, ‘친환경 교통혁신’ 월 6만5천원 무제한 ‘기후동행카드’ 내놔
  • 오세훈 시장 “교통분야 기후위기 대응 ‘대중교통’ 핵심”
  • 심상정 의원 “기후동행카드, ‘기후워싱카드’ 될 수 있어”
세로_가로_확장 copy.jpg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기자브리핑을 열고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수송 분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하드웨어를 교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며 “기후위기 대응뿐 아니라 교통요금 인상으로 느끼실 가계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서울시가 월 6만5천원에 버스, 지하철,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내년 1월부터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독일은 지난해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의 하나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49유로 티켓‘을 내놨다.


서울시도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제한 정기 이용권을 도입, 내년 1월부터 시범 운영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월 6만5천 원’짜리 교통카드 하나로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를 출시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기자브리핑을 열고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수송 분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하드웨어를 교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며 “기후위기 대응뿐 아니라 교통요금 인상으로 느끼실 가계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심상정 의원(정의당)은 “서울시의 발표내용을 보니 ‘기후동행카드’가 아니라 ‘기후워싱카드’가 될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심 의원이 우려한 부분은 △서울시 시내버스 요금 인상 후 ‘기후동행카드’ 신설 △경기·인천에서 적용되지 않는 반쪽짜리 요금제 △기업의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검토로 대형시설 주차요금 감면 등이다.


심 의원은 “국토부 발표에 의하면 2022년 기준으로 서울 시민들의 한 달 평균 대중교통 요금은 7만 1,745원으로 시민들이 원래 내던 요금에서 5~6천원 할인해주는 꼴”이라며 “그런데 지난 달부터 서울시 시내버스 요금이 300원씩 올라 왕복 600원씩 매일 더 지출된다고 치면 한 달에 1만 8천원이 추가로 지출돼, 1만 8천원을 올려놓고 5천원을 깎아주는 생생내기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는 서울로 출근하는 경기도민의 애환을 담아 큰 공감을 얻기도 했다”며 “서울을 넘어가면 무 자르듯이 뚝 잘려 이용하지 못한다면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고 수도권 통합 카드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월 6만5천원에 서울 버스·지하철·따릉이 무제한 이용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