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1-06(수)
 
  • 김재연 회장 “현재, 산모 응급 상황 시 대처 힘들어”
  • “지방 응급 산모, 치료 받기 위해 경기도·서울로 와”
  • “양수 터진 산모 치료 위해 산부인과 병원서 직접 전화 돌려”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대한산부인과의사회 김재연 회장(오른쪽)은 “내 아내가 24주에 양수가 터졌는데 갈 병원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라며 “며느리가 임신 중이면 외출을 피할 것을 권할 것”이라고 현 상황을 우려했다.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사례1. 지난 9월 추석 경북 지역에서 25주 임산부 ㄱ씨가 분만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 중 구급차에서 출산했다.


#사례2. 지난 8월 말 경기도 거주 31주 임산부 ㄴ씨가 8곳에서 전원을 거절당하고 분만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도착 당시 사산(死産)했다.


#사례3. 8월 말 서울에 사는 26주 임신부 ㄷ씨는 질 출혈이 심하고 태아 심박동이 낮았다.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그 과정에서 유산했다.


산부인과 의료 공백 문제가 의대 정원 확대로 심화되며,  임산부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처가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0월 기준으로 전국 시군구 250곳 중 22곳은 산부인과가 없고, 산부인과가 있더라도 분만실이 없는 곳은 50곳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30% 가까이 분만실이 없는 셈이다. 보건복지부 자료를 봐도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는 2018년 555개소에서 올해 425개소로 130개소가 줄었다.


이런 상황에 올해 초 의대 정원 확대로 병원 내 전공의들이 사직하면서 고위험 산모와 태아 진료를 담당하는 전국 대학병원 산부인과 전문의들의 업무 강도가 높아졌고, 전공의 공백이 8개월 동안 이어지며 이들 전문의들이 한계에 봉착했다.


지난 1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대한산부인과의사회(의사회) 추계학술대회 간담회에서 소개된 산부인과 병의원 현황을 보면 심각한 상황이다.


의사회 김재연 회장은 “서울 노원을지병원에 근무하는 산부인과 교수가 2명인데, 인근 산부인과 병원 4곳이 사라지며 (산부인과 교수) 2명이 많은 분만 관련 수술을 하고 있다”며 “일부 대학병원 교수들은 아예 전화기를 꺼두고 있어, 지방에서 응급 처치가 필요한 산모가 경기도나 서울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 아내가 24주에 양수가 터졌는데 갈 병원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라며 “며느리가 임신 중이면 외출을 피할 것을 권할 것”이라고 현 상황을 우려했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현재 의료 현장에서 임산부 응급 대처가 어렵지만 공론화되지 못하는 이유를, 119구급대 밖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많다는 것에서 찾았다.


김 회장은 “응급환자와 달리 임산부 경우 산부인과 병원에서 전원 갈 병원을 직접 찾고 있다”며 “양수가 터진 산모가 오면 10여 곳에서 많으면 30곳까지 병원장이 전원할 병원을 물색하고 있지만, 뉴스에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 ‘임산부 뺑뺑이’가 비일비재하지만 119구급대 체계 내에서 확인되지 않고 지나간다는 말이다.


의사회 조병구 부회장은 “산부인과는 2차 병원이 없고 1차 병원(의원)과 3차(대학병원)만 존재한다”며 “대학병원이 제 기능을 못하면 안 되는데, 대학병원에서 소아과나 산부인과 인프라가 무너지면서 결국은 환자가 불안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의정갈등으로 분만 시 꼭 필요한 마취과 의료진 부족 현상도 산부인과 의료 공백을 심화시키고 있다.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지방에서 마취과 의사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이구동성을 말했다.


의사회 이기철 부회장은 “큰 병원은 마취과 의사를 채용하지만 중소 분만병원은 그렇지 못하다”며 “산모들은 마취과 의료진이 필요한 무통 분만을 원하는데 (지방 산부인과에서는) 마취과 의사를 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기자간담회를 마치며 이인식 부회장은 “현 상황 심각하니 아프지 마세요”라고 말을 맺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산부인과의사회 회장 “며느리 임신했으면 외출 피하길 권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