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항생제 유통도 아시아 내성률 급증 한 몫
매년 4월 7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정한 ‘세계 보건의 날’이다. WHO는 올해 전세계적인 공공 보건상의 중요 이슈를 ‘항생제 내성’로 정했다. 아시아 지역은 특히 항생제 오남용 문제가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해, 이로 인한 항생제 내성의 대부분이 이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한국 연구진의 주도로 항생제 내성과 감염질환에 대한 국제적 공조와 공동 연구를 이끌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감염재단은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제8회 ‘항생제 내성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ISAAR)’을 개최한다.
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아시아 태평양 감염 재단 이사장인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송재훈 교수(위 사진)는 “항생제 내성은 21세기의 가장 심각한 보건 문제 중 하나”라며 “아시아 지역은 주요 세균의 항생제 내성 발생 빈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라고 지적했다.
아시아 지역, 항생제 오남용․내성률 심각해
송 교수는 이날 아시아 태평양 감염재단에서 2011년 초에 시행한 ‘아시아 지역 11개 국가(한국, 일본, 중국, 홍콩, 필리핀,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스리랑카)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대상 국가의 일반인과 의료인 모두 올바른 항생제 사용과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았다.
특히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서는 의약분업의 미비로 의사의 처방전 없이도 항생제 구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이들 아시아 국가의 항생제 오남용 문제는 전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발표된 보고에 의하면 입원 환자의 70~80%에 항생제가 투여되고 있으며, 터키에서는 모든 의약품을 통틀어 항생제가 가장 많이 쓰이는 약(22%)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오남용 방지를 위한 전세계적 공조 필요
송재훈 교수는 “전 세계 인구의 60%가 살고 있는 아시아는 항생제 오남용을 규제하는 법규나 의약분업이 잘 갖추어져 있지 않고, 병원 감염 관리나 공공 보건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이나 국가도 많다‘며 ”또 가자 항생제가 광범위하게 유통되는 국가가 있는 등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오남용 및 내성이 가장 심각한 지역“이라고 경고했다.
이날 함께 참석한 감염 질환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월터 윌슨 미국 메이요 클리닉 감염내과 교수(위 사진)도 “항생제 내성은 단시일 내에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인 30년대 이전으로 회기 할 수도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어쩌면 치료에 쓸 수 있는 항생제가 없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송재훈 교수는 “아시아 지역의 심각한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아시아를 망라하는 항생제 내성 감시 체계를 통해 내성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한 인식도 제고, 올바른 항생제 사용을 유도하는 캠페인, 보다 효과적인 감염관리, 백신 접종을 통한 감염질환의 예방, 그리고 적절한 정책과 규제를 통해 항생제 오남용을 방지하는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송 교수는 “항생제 내성은 국가간에 전파되므로 특정 국가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 문제‘라며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적 공조가 필수적“이라고 촉구했다.
한편,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8회 ‘항생제 내성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ISAAR)’은 전 세계의 감염질환 및 항생제 내성 분야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항생제 내성, 신 항생제와 백신 및 감염 질환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학술대회다.
이번 대회에서는 전 세계 40여 개 국가에서 감염질환, 미생물학, 질병역학, 면역학, 약물학 분야의 전문가들과, 의료인, 보건 정책 전문가, 제약기업 소속의 연구자, 해당 분야의 학생 등 총 2천여 명이 참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