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11(금)

남녀노소
Home >  남녀노소  >  노인

실시간뉴스
  • 초고령사회 질병부담 급증...3년간 만성질환 진료비 연 8.4% 증가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인 고령자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행전안전부에 따르면,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가 1024만 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 5,122만 1,286명의 20%를 차지했다. 초저출산 기조가 이어지면서 당초 예상보다도 빠르게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질병부담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26일 발간한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만성질환 진료비는 연 8.4% 증가세를 나타냈다. 2023년 기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75,183명으로 전체 사망의 78.1%를 차지했다. 또 2023년 10대 사망원인 중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으로 대부분 2022년 대비 순위가 증가했다.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90조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84.5%를 차지했다. 진료비 중 순환계통 질환으로 인한 비용이 13조 4천억 원으로 만성질환별 진료비 전체의 14.9%를 차지하였고, 근골격계질환이 12.9%, 암이 11.2%로 진료비 비율이 높았다. 만성질환 중 단일 질환으로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에 의한 진료비가 4.4조 원으로 가장 높았고, 2형 당뇨병이 3.1조 원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변화를 살펴보면, 19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20~22%, 당뇨병 유병률은 10% 내외를 유지하며 정체 중이다. 반면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12년 11.9%에서 2022년 22.0%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유행기간에 증가한 성인 비만율이 2022년 37.2%로 유지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 질병부담이 증가 추세로,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남녀노소
    • 노인
    2024-12-26
  • 건강 위한 팔방미인 ‘비타민D’, 노인 근감소증도 예방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노년기 건강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근육'이다.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감소하는 근감소증은 근력과 함께 신체기능도 현저히 저하시켜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당뇨병 등 대사성질환 발생 및 사망률 위험이 높아진다. 이런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 비타민 D의 적정 농도 유지가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은 노인에서 혈중 비타민D의 적정 농도 유지가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전문 학술지에 발표했다. 서구인에 비해 한국인은 비타민 D 결핍환자가 증가 추세이고 특히 노화가 진행되는 고령층에서 비타민 D 결핍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비타민 D 결핍 환자는 전체 영양소 결핍 환자의 73.7%로 2017년 8만 6285명에서 2021년 24만 7077명으로 급증했다. 근감소증은 나이가 들면서 근육의 양, 근력, 근기능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는 질환으로, 활동장애 및 당뇨병, 대사질환 등 노인성 질환을 유발하여 건강한 노년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항상성 감소로 인해 체내대사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만성질환에 더욱 취약하므로 근감소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 예방이 반드시 필요하다. 근감소증 예방과 치료를 위해선 꾸준한 운동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노인에서는 개인에 따라 노쇠로 인해 운동 중재가 불가능하다. 이에 국립보건연구원 내분비·신장질환연구과 연구팀은 노인에서 근감소를 예방하고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타민D에 초점을 맞추어 근감소증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운동을 하면 근육에서 근육호르몬인 마이오카인이 분비되어 근육기능을 조절한다. 이에 연구팀은 비타민D와 근감소증을 조절하는 마이오카인과의 상관성에 주목했다. 연구 결과, 3개월과 18개월된 노령쥐에서 4개월간 비타민 D 투여(20,000 IU/kg) 효과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노령쥐는 혈중 비타민 D 수치가 현저히 낮았고 근감소증이 나타난 반면, 비타민 D를 지속적으로 섭취한 노령쥐는 근육량과 근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됨이 확인됐다. 비타민D는 운동으로 인해 만성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대표적인 마이오카인(Myokine)인 아펠린(Apelin) 분비를 증가시키고 비타민 D 수용체(VDR)를 통해 아펠린 수용체(Apelin receptor, APJ)의 발현을 직접적으로 증가시켜 근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비타민D는 아펠린과 그 수용체를 통해 근육조직의 세포 노화를 완화시키고, 근단백질 분해를 감소시킨 반면 근단백질 합성은 증가시켜 근감소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노화로 인해 근감소증이 나타난 노령쥐의 혈중 비타민 D 수치는 결핍 상태였지만 비타민 D를 지속적으로 섭취하여 비타민 D를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킨 결과 운동 효과와 유사하게 마이오카인인 아펠린 분비 및 그 수용체 발현 증가를 통해 근감소 예방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노인에서 건강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감소증 예방 및 개선 시킬 수 있는 표적으로 비타민 D의 지속적인 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것"이라며 "우리나라 초고령화사회 대응으로 항노화 기술전략을 위한 과학적 근거 생산과 함께 노인층에서의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한편, 노인노쇠코호트 연구결과에 따르면 70세이상 노인의 21%만이 혈중 비타민D 농도가 적정수준(30ng/ml 이상)이었고 41%는 결핍수준(10ng/ml 이하)이었다. 특히 노쇠 유병율은 9.7%이며, 혈중 비타민D 농도가 부족하면 노쇠 발병위험이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D는 햇빛에 있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서 생성되거나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며, 간과 신장에서 활성상태인 1,25OHD(1,25-dihyroxyvitamin D)로 전환된다. 활성상태 비타민D는 비타민D 결합단백질 (VDBP)과 함께 혈액 내에 존재하다가 세포 안에서 전사인자인 비타민D 수용체(VDR)와 결합해 유전자가 존재하는 핵안으로 이동, 특정 타깃 유전자발현을 조절한다. 마이오카인은 운동할 때 근육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마이오(근육)와 카인(호르몬)의 합성어로 근육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분비되어 근육 뿐만 아니라 혈관을 통해 전신으로 전달되어 뇌, 간, 지방, 췌장 등에서 대사기능을 조절함- 마이오카인은 근육신생 및 근육재합성을 통해 근육량과 근력을 향상시키며, 근육세포의 성장과 재생을 조절한다. 또한,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고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켜 당뇨병 등 대사질환을 개선하는 역할이 있으며, 심혈관 질환 예방, 인지기능 향상, 염증제어 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남녀노소
    • 노인
    2024-12-19
  • 장기요양시설 노인 10명 중 9명 '중추신경계 약물' 복용
    [현대건강신문]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86.8%가 중추신경계용 약물을 복용 중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인장기요양시설 입소한 시설수급자 10명 중 9명이 중추신경계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셈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22일 열린 '2023년 한국보건사회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중추신경계용약물은 뇌, 척수 등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 이번 연구에서는 마약성 진통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 수면진정제, 항우울제를 포함했다. 이번 연구는 2023년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시설수급자 187,077명과 재가수급자 704,109명이 포함됐으며, 복용일 기준을 연간 1일과 28일로 나누어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환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 연구가 가장 최근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사용현황을 확인했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전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중 연간 1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환자 비중은 79.2%였으며, 이 중 시설수급자의 약물복용 비율이 86.8%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시설수급자와 재가수급자 중 중추신경계용 약물 1일 이상 복용환자 비율은 각각 86.8%, 77.2%로 시설수급자에서 사용 비중이 9.6%p 더 높았다. 연간 28일 이상 사용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 시설수급자와 재가수급자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환자 비율은 각각 76.7%, 56.6%로 20.1%p의 차이를 보여 재가수급자보다 시설수급자에서 중추신경계용 약물의 장기복용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설수급자에서 1일 이상 복용률이 가장 높은 약물군은 마약성진통제(57.6%)와 항정신병제(53.2%)로 나타났으며, 연간 28일 이상 복용 건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항정신병제(50.7%), 항우울제(33.3%) 순으로 높았다. 약물군별 복용률을 살펴보면, 마약성진통제의 경우 연간 1일 이상 복용률(57.6%)에 비해 28일 이상 복용률(27.3%)이 크게 감소한 반면, 항정신병제는 연간 1일이상 복용률(53.2%)과 28일 이상 복용률(50.7%)에 큰 차이가 없어 대부분 환자가 장기복용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약물 성분별로는 항정신병제 중 쿠에티아핀(quetiapine)은 1일 이상 복용률이 46.1%로 가장 많은 환자가 복용한 성분으로 나타났으며, 28일 이상 복용률 또한 45.1%로 큰 차이가 없어 장기복용률이 높은 성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쿠에티아핀(quetiapine)에 이어 감기약으로 쓰이는 디하이드로코데인(dihydrocodeine) 함유 복합제와 진통제로 쓰이는 트라마돌(tramadol) 함유 복합제에서 1일 이상 복용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28일 이상의 장기간 사용에서는 이들의 복용률 순위가 낮아졌다. 또한 시설수급 노인에서 항정신병제의 사용률이 높아 서로 다른 중추신경계용 약물군이 병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 환자에서 서로 다른 약물군이 각각 180일 이상 처방된 경우를 병용이라고 간주했을 때, 항정신병제와 항우울제의 병용은 15.3%, 항정신병제와 항불안제의 병용은 10.2%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마약성진통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 수면진정제, 항우울제 등 중추신경계용 약물은 중독과 의존, 낙상 및 골절위험,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세심하게 투약하고 상태를 관찰하여 조정해야 하는 약물”이라며 “장기요양시설의 인력과 전문성 부족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건강보험연구원 변진옥 보험정책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는 일반 노인들에 비해 신체 및 정신적으로 취약한 장기요양 시설수급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사용에 대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최신 현황을 본 것이라는 점에 의미를 둘 수 있다”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 장기요양 시설수급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이 31.7~78.0% 수준인 외국에 비해 높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24-11-25
  • [표] 최고 장수마을 ‘전남 고흥’, 경북 울릉군 100세 이상 ‘0명’
    [현대건강신문]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인구 10만명 당 100세 이상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전남 고흥군이고, 가장 적은 곳은 경북 울릉군으로 나타났다. 10월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복지 예산과 지원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통계청에서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받은 ‘100세 이상 인구 현황’에 따르면 100세 이상 인구는 2019년 4,874명에서 2023년 7,634명으로 56.63% 증가했다. 2023년 기준 남성은 1,298명, 여성은 6,336명으로 100세 이상 여성 인구가 4.8배 이상 많다. 상위 10개 시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100세 이상 인구 는 전국 시군구 중 전남 고흥군이 7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경남 합천군 71명, 전북 고창군 63명, 전북 담양군 62명, 경북 영양군 59명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100세 이상 인구 상위 10곳 중 5곳이 전라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구 10만명 당 100세 이상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경북 울릉군으로 0명이며, 그 다음으로 △울산 남구 3명 △부산 강서구 4명 △경기 오산시 5명 △울산 중구 6명 등의 순으로 적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남인순 의원은 “100세 이상 노인 인구가 7천명을 넘어섰고, 65세 이상 노인인구 1,000만명 시대에 돌입했다”며 “10월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복지 예산과 지원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24-10-02
  • “근감소증 예방하면 파킨슨병 진행 늦출 수 있어”
    [현대건강신문] 건강한 노년기를 위해 근육량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런 가운데, 근감소증을 예방하면 파킨슨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윤상욱) 신경과 허영은 교수팀은 근감소증이 파킨슨병 환자의 약물 유발 이상운동증(levodopa-induced dyskinesia) 발생의 중요한 원인임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NPJ 파킨슨병’ 최근호에 게재됐다. 근감소증은 근육량이 줄고 근육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낙상, 치매, 당뇨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근감소증과 파킨슨병의 연관성 역시 제기되었으나 교란요소(confounding, 인과관계를 왜곡하는 제3의 요인)와 역인과관계(reverse causation, 원인과 결과가 뒤바뀌어 결과가 원인이 되는 상황)에 취약한 전통적 관찰역학 연구의 한계로 지금까지 명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았다. 허영은 교수팀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멘델 무작위 분석법을 도입했다. 멘델 무작위 분석법은 유전자 변이를 도구변수로 이용해 교란요소와 역인과관계를 배제한 상태에서 위험요인과 질병 간의 인과관계를 도출하는 연구방법이다.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 뱅크(UK biobank) 등 대규모 코호트에 근거한 전장유전체 상관성 분석 데이터를 이용해 근감소증을 반영하는 악력(손아귀 힘) 및 근육량 감소가 파킨슨병의 진행, 특히 약물 유발 이상운동증 발생의 위험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을 확인했다. 또 이들 간에 순방향의 인과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했다. 다유전자 점수(polygenic score, 특정형질 연관 변이의 가중치 점수) 및 경로 농축 분석을 통해 신경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이 이들 간의 인과적 상관성을 설명하는 핵심 기전임을 제시했다. 파킨슨병은 현재까지 질병의 발생과 진행을 근본적으로 막는 치료제가 없는 질환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근감소증이 파킨슨병 진행을 늦추는 새로운 치료 타깃임을 제시한 것이다. 신경과 허영은 교수는 “현재까지 질병의 원인과 진행을 막는 치료제가 없는 파킨슨병에 근감소증이 파킨슨병의 진행을 늦추는 새로운 치료 타깃을 제시한 의미있는 연구”라며 “약물유발 이상운동증은 파킨슨병 약물 치료 도중 발생해 대부분의 파킨슨병 환자들이 겪는 장기 합병증으로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근감소증을 호전시키는 근력운동, 충분한 양질의 단백질 섭취, 류신 및 비타민 D 보충을 비롯하여, 근감소증을 완화하는 약물치료제 개발이 파킨슨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새로운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24-09-23
  • 노인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증가...90% 낙상사고
    [현대건강신문]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실버 헬스케어’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노인요양시설과 의료서비스시설 등에서 의료용 침대 관련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 헬스ㄹ제로 케어 산업 중 ‘고령친화 의료기기 제조업’ 시장규모는 2020년 1조 2,714억 원에서 2021년 1조 8,090억 원으로 일년만에 약 42.3%가 급증했다. 2022년 고령자 위해정보 동향 분석에 따르면 2019년∼2022년까지 주택 외 장소에서 발생한 65세 이상 안전사고 다발 상위 5개 품목은 ‘일반자전거’, ‘에스컬레이터’, ‘목욕탕’, ‘의료용 침대’, ‘사다리’등이 있었으며, 그 중 ‘의료용 침대’ 관련 안전사고가 3년 연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 최근 3년 6개월간(2020년∼2023년 6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의료용 침대 관련 위해사례는 총 374건으로,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원인을 살펴보면, 추락·미끄러짐·넘어짐 등 ‘낙상사고’가 92.5%(346건)로 가장 많았고, 눌림·끼임·부딪힘 등 ‘기타 물리적 충격’이 5.6%(21건)로 뒤를 이었다. 다친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45.7%(171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둔부, 다리 및 발’ 35.3%(132건), ‘팔 및 손’ 7.8%(29건) 등의 순이었다. 위해증상으로는 ‘골절’이 40.9%(153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타박상’ 19.8%(74건), ‘열상(찢어짐)’ 13.1%(4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사고가 발생한 연령대를 살펴보면 ‘80대’가 41.2%(15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70대’18.7%(70건), ‘90세 이상’ 12.6%(47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접수 건의 대다수인 82.9%가 60대 이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발생장소별로는 요양원·요양병원 등의 ‘복지 및 노인요양시설’이 58.8%(220건)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종합병원·전문병원 등의 ‘의료서비스시설’ 39.0%(146건), 주택 등의 기타 장소 2.2%(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고령자의 경우 근력과 시력 저하 등 신체 기능의 변화와 인지 기능의 저하, 질병이나 약물의 영향 등에 의해 균형을 잡는 것이 어려워 낙상사고의 위험에 자주 노출되며, 낙상사고 시 중상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고령자가 중상해를 입을 경우, 회복기간이 길어지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안전수칙 숙지를 통한 사고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소비자원은 의료용 침대 관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소비자에게 △침대 위에 머무를 때는 침대 바퀴를 모두 고정하고 양쪽 난간을 올릴 것, △거동이 불편할 경우 보호자와 함께 이동하거나 간호사를 호출할 것, △낙상사고 발생 시, 추후 더 큰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바로 병원 진료를 받을 것 등을 당부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23-09-08

실시간 노인 기사

  • 평소 부모님 어떤 약 드시는지 확인해야
    KMI 안지현 전문의 “응급실로 바로 가야 하는 증상 등 평소 알아두면 좋아” [현대건강신문] 5월은 가정의 달이다. 5월 5일 어린이날, 8일 어버이날, 15일 스승의 날, 21일 부부의 날까지, 새삼 고마운 사람들을 떠올리게 되고 자연스레 건강에 대한 안부를 주고받는다. 바쁜 일상을 보내다 간혹 부모님이 어떤 증상을 호소하거나 병의원에 방문한 얘기를 들으면 놀라곤 한다. 종합건강검진기관 KMI한국의학연구소 안지현 내과 전문의(대한검진의학회 총무이사)의 도움으로 부모님의 건강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 것들을 알아보자. 응급실로 바로 가야 하는 증상이 있다 대표적인 응급상황은 심장혈관이나 뇌혈관에 문제가 생겼을 때이다. 이때 대개는 심한 가슴통증이나 두통을 호소한다. 진땀이 날 정도로 가슴이나 머리가 아프다면 빨리 응급실로 가는 것이 최선이다. 과거 전국 16개 대학병원의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3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가슴통증 때문에 병원에 입원한 후에야 심장혈관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는 환자가 77%였다. 또한 31%는 가슴통증을 느꼈을 때 급체 등으로 오인해 손가락을 따거나 우황청심원을 먹었다고 응답했다. 한 시간이 급한 상황인데도 전문의료기관에 도착하기까지 24시간을 넘긴 경우가 12%나 되었다. 물론 모든 가슴통증과 두통에서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견디기 어려울 만큼 통증이 심하면 민간요법에 시간을 뺏기지 말고 외래진료실보다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두통의 경우 말이 어눌해지거나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면 뇌졸중(중풍)일 수 있다. 애매한 증상이 질병의 신호 부모님이 고령일수록 몸이 안 좋을 때 모호한 증상으로 나타날 때가 있다. 보통 폐렴에 걸리면 열이 나고 기침, 가래가 생기지만 노인은 입맛이 떨어져 식사량이 줄고 자꾸 누우려고 할 수 있다. 말수가 줄어들고 의식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애매한 증상이라도 갑자기 생겨서 심해지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급성 심근경색증에서도 심한 가슴통증 대신 소화가 안 되는 것 같다고 호소할 수 있다. 따로 증상을 얘기하지 않더라도 몸이나 다리가 붓거나 겉에서 보기에 예전과 달라 보이면 가볍게 지나치지 말아야 한다. 노인일수록 애매한 증상으로 시작한 것이 질병을 알리는 신호인 경우가 많다. 부모님이 어떤 병으로 약을 드시는지 알아야 한다 50대 이상이면 대부분 어떤 병 때문이든 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골다공증, 심방세동 등이 있다. 부모님이 복용 중인 약의 이름과 종류까지는 알지 못해도 어떤 병으로 약을 복용 중인지는 알아야 한다. 특히 약을 복용하다 중간에 그만 두거나 더 이상 진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혈압이나 혈당 등이 잘 조절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의사와 상의 없이 환자가 약을 끊거나 중간에 빼먹어서이다. 특히 이들 질환은 약 복용을 중단해도 당장 증상이 생기지 않아 소홀해지기 쉬운데 어느 날 갑자기 뇌졸중이나 심장마비로 쓰러지거나 넘어져 뼈가 부러질 수 있다. 제때 약만 잘 복용해도 상당 부분 관리가 가능하므로 부모님의 약 복용을 꼭 챙겨야 한다. 반면에 부모님이 꼭 복용해야 하는 약 대신 오히려 더 비싸고 효과가 불확실한 건강기능식품에 의존하는 경우도 많으니 확인해야 한다. 증상이 없어도 제때 백신 예방접종과 건강검진 받아야 증상이 생긴 후 질병을 진단해 치료시기를 놓칠 때가 있다. 아무 증상이 없을 때 미리 백신 예방접종을 하거나 건강검진을 받으면 도움이 되는 질환이 많다. 50대부터는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고, 노인에서는 폐구균 예방접종이 폐렴과 뇌수막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매년 가을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도 잊지 말아야 한다. 국가건강검진 등 건강검진으로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은 물론 골다공증 등도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내시경 등 암 검사를 통해 위암 등 여러 암을 일찍 찾아내면 완치도 가능하다. 부모님이 검진을 잊지 않도록 함께 검진일자를 잡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 남녀노소
    • 노인
    2019-05-14
  • 노인 빈곤율·자살률 OECD 1위...“정책 수립 전 어르신 말부터 들어야”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유승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3일 성북구청 아트홀에서 ‘어르신 걱정, 유승희가 답한다’를 주제로 노인정책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토크콘서트는 OECD 국가 중 노인빈곤율·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쓰고 있는 한국사회 노인세대의 경제적ㆍ정신적 위기 상황을, 어르신들과의 직접 소통을 통해 해결방안을 찾아보자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OECD가 발간한 ‘한 눈에 보는 연금 2017(Pensions at a Glance 2017)’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45.7%로 독보적 1위이다. 사실상 노인 2명 중 1명이 빈곤상태인 것으로 2위 라트비아(26.5%), 3위 오스트레일리아(25.7%)를 한참 앞서는 수준이다. 노인자살률 역시 10만 명 당 54.8명으로 OECD 국가 중 1위를 기록 중이다.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노인문제 역시 심각해지고 있는 셈이다. 이번 토크콘서트는 노인세대가 체감하고 있는 문제점을 당사자들의 이야기로 듣고 유승희 국회의원이 답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전문가들이 출연해 갑론을박하는 천편일률적인 토론회 형식을 벗어나 직접 소통으로 ‘답’을 찾겠다는 취지다. 지역의 어르신들이 영상 및 토크쇼 패널로 출연할 예정이다. 유승희 의원은 “기초연금, 노인일자리 등 노인복지를 위한 정책과제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는데, 정작 정책입안과정에 수혜자들의 목소리가 빠져 있다”며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으로 이번 토크콘서트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이어 “어르신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실효성 있는 정책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19-05-08
  • 춘분 맞아 봄나들이?...골다공증 환자, 뼈 건강부터 챙겨야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밤, 낮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춘분이다. 벌써부터 꽃소식이 들려오면서 겨우내 움츠렸던 몸을 추스르고 밖으로 나갈 준비에 분주하다. 하지만 골다공증 환자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자칫 방심하다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로 일어서는 것은 물론 간단한 움직임조차 쉽지 않을 수 있다. 자신도 눈치채지 못한 사이 뼛속 칼슘양이 줄어들어 구멍이 나고, 골절이 일어나 ‘조용한 도둑’이라 불리는 골다공증은 주로 노인, 특히 폐경기를 지난 여성에서 자주 발생한다. 골다공증이 무서운 이유는 쉽게 골절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심할 경우 기침 등 작은 충격에도 골절로 연결되기 쉽다. 특히 여성은 폐경이 되는 50대 초반을 전후로 골밀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시기가 있는데, 폐경 후 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반대로 남성은 여성처럼 급격하게 뼈의 강도가 약해지는 시기는 없다. 하지만 매년 0.5~1%씩 골밀도가 낮아져 여성보다 평균 10년 정도 늦게 골다공증이 발생한다. 특히, 자외선 지수가 낮고 외부 활동이 적은 겨울철에는 햇볕을 통해 합성되는 비타민 D의 결핍이 일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봄철 본격적인 야외 활동을 하기 전 자신의 상태를 확실히 파악하고 조심해야할 필요가 있다.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생활양식의 변화가 중요하다. 우선 담배를 끊고 과도한 음주를 삼가는 것이 좋다. 체중이 실리거나 근력을 키우는 운동은 노화를 억제하고 체력과 균형감각을 증가시켜 추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적극 권유된다. 일반적으로 모든 환자에게 적당량의 칼슘이 필요하며 특히 노인에게는 비타민D 보충이 필요하다. 칼슘과 비타민D를 보충하는 식품으로는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의 유제품이 과일이나 채소에 비해 효과적이다. 골다공증 환자 위한 운동은 따로 있다?! 맨손체조‧걷기‧조깅‧근력운동 좋고… 꾸준히 운동해야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이 중요하다. 특히 뼈에 무게가 실리는 가벼운 근력운동이 좋다. 이를 체중 부하 운동이라고 하는데 맨손체조, 걷기, 조깅과 가벼운 근력 운동이 여기에 속한다. 실제로 폐경 전 여성이 체중 부하 운동을 하면 골밀도가 높아지고, 폐경 후 여성이 체중 부하 운동을 하면 골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운동 강도는 비교적 가벼운 강도와 보통 강도 사이의 수준이 좋다. 최대 맥박의 40∼70% 정도를 유지하면서, 운동 지속시간은 최소 20분 이상, 일주일에 3일 이상 실시한다. 근력 운동은 초기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앉았다 일어서기 등이 좋고, 여기에 익숙해지면 기구를 이용하는 웨이트 트레이닝도 가능하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처음부터 너무 무리하게 하지 말고, 낮은 강도에서 시작해 적응이 되면 강도를 늘리면서 휴식시간은 점차 줄여 가는 것이 좋다. 고령자라면 준비운동, 정리운동,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모두 합쳐 전체 시간이 1시간 정도 소요되도록 운동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뼈와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수영?...골다공증 환자에게 도움 안돼 흔히 노년층에서 골다공증 등을 예방하기 위해 뼈와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수영을 선택하는 분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수영은 골다공증 환자에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뼈는 적당히 자극을 줬을 때 스스로 방어하려는 기질에 따라 골생성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수영은 뼈에 거의 자극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오인수 교수는 “운동이 뼈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운동을 중단하면 빠르게 사라진다”며 “운동은 하루 이틀 하고 중단하기 보다는 오랜 시간에 걸쳐 꾸준히 시행해야만 그 효과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일부에서 자외선차단제 사용이 늘면서 자외선차단제와 골다공증의 인과관계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자외선치료제를 많이 사용하면 뼈 생성에 관여하는 비타민 D 합성이 저해돼 골다공증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외선차단제를 자주 또는 많이 사용하더라도 대부분 골다공증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오인수 교수는 “최근 일부에서 자외선차단제 사용이 골다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가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피부가 햇볕을 쬐면 자외선에 의해 비타민 D 합성이 이뤄지는 건 맞지만, 비타민 D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햇빛의 양은 일상생활에서 햇빛에 노출되는 전체 시간에 비하면 아주 적은 양으로도 충분하다”고 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19-03-21
  • 치매 환자, 60세 이상 노인 77만명...2024년 100만명 넘을 듯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인구 고령화로 오는 2024년이면 치매 환자가 100만명이 넘어서고, 20년 후인 2039년에는 200만 명이 넘을 것이라는 추계가 나왔다. 중앙치매센터는 2016년 전국 치매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치매 유병률은 2018년 기준, 60세 이상 노인의 치매유병률은 7.2%로 환자수는 77만명에 이르렀다.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유병률은 10.2%인 75만명으로 남성이 27.5만명, 여성이 47.5만명으로 여성 치매 환자가 20만명이 더 많았다.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018년 기준, 60세 이상 노인에서는 20.2%로 환자수 220만명으로 추정된다. 중앙치매센터는 “이번 치매역학조사는 특히, 해외 여러 국가나 국제기구와 같이 60세 이상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치매유병률을 확인해 해외 유병률 수준과 비교가 가능해졌다”며 “이는 우리나라 국가치매관리사업의 대상 연령인 60세 이상과도 부합하여 정책 근거자료로서 활용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2008년 및 2012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알츠하이머치매가 가장 흔했고, 혈관성치매가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2008년 및 2012년 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츠하이머치매의 비율(74.4%)은 증가하고 혈관성 치매의 비율(8.7%)은 감소하여 치매의 알츠하이머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특히, 중앙치매센터는 치매환자수가 100만명을 넘는 시점은 2012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2024년으로 추정되었으나, 200만명을 넘는 시점은 2039년으로 추정돼 지난 2012년 조사에 추정한 2041년보다 2년 빨라져 치매환자 증가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 고령과 여성, 무학, 문맹, 빈곤, 배우자부재, 우울, 두부 외상일 경우 치매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관련해서는 60~64세에 비해 치매 위험이 75~79세는 5.8배, 80~84세는 17.5배, 85세 이상은 35.2배에 이른다. 이 밖에도, 운동량이 중강도 이상의 규칙적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치매위험이 0.3배 낮은 경향을 보였다. 치매에 대한 인식도는 100점 만점에 65.9점으로 나타나, 2008년 및 2012년 전국 치매역학조사와 비교해 각각 4.0점, 1.2점이 유의하게 상승했다. 그러나 여전히 치매의 원인이나 치매증상 및 진단에 대한 네 항목들은 점수가 50점 미만으로 인식이 부족했다. 중앙치매센터는 “2008년 시작된 정부의 치매관리종합대책과 중앙 및 광역치매센터 등 관련 인프라의 지속적인 구축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며 “여전히 인식도 수준이 70점을 밑돌고 있고, 50점을 넘지 못하는 항목들도 다수 있어, 전국 치매안심센터가 지속적으로 치매인식개선 사업을 펼쳐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18-12-31
  • 노인 건강...커뮤니티케어 활성화 위한 심포지엄 개최 외(外)
    바야다코리아, 고대 의대 노인건강연구소와 공동 심포지엄 개최 16일 밀레니엄 서울힐튼… 커뮤니티케어 성공 도입·정착 위한 민간 협력 모델 논의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글로벌 방문간호·요양 기업인 바야다코리아홈헬스케어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노인건강연구소(소장 박건우 고대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강북구치매지원센터장)와 함께 16일 밀레니엄 서울힐튼에서 ‘2018 KU-BAYADA 심포지엄: 커뮤니티케어 활성화를 위한 홈헬스케어 발전과제’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추진되고 있는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한 도전과제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특히 의료적 관점에서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환자 연속케어 구현을 뒷받침하는 선진적 민간 협력 모델을 모색하는 가운데 △국내 의료 실정에 적합한 케어 모델 구현 △지속가능한 운영에 필요한 발전방향을 집중 논의한다. 1부(국내외 홈헬스케어 동향)와 2부(커뮤니티케어 추진과제 및 질환별 케어 과제)로 나뉘어 진행될 이번 심포지엄은 박건우 고대 노인건강연구소 소장과 이건세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교수(정부 사회보장위원회 산하 커뮤니티케어 전문위원회 위원장)이 각각 좌장을 맡으며, △커뮤니티케어 추진과제(이건세 교수) △지역사회 치매 및 파킨슨병 케어의 선결 문제와 해법 제안(박건우 교수) △당뇨병 케어프로세스와 교육상담의 중요성(김대중 아주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대한당뇨병학회 홍보이사) △글로벌 홈헬스케어 동향과 시사점(마크 바야다 美 BAYADA Home Health Care Inc. 회장) △커뮤니티케어 시스템 내 홈헬스케어의 역할(김영민 바야다코리아홈헬스케어 대표) 등의 주제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홈헬스케어란 노화, 만성질환, 장애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이가 가정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전문 간호와 돌봄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고령화가 가속화하는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 출범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성장과 함께 수요와 공급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이와 관련, 미국 굴지 홈헬스케어 기업으로 2016년 한국 합작사를 설립한 바야다홈헬스케어의 마크 바야다(Mark Baiada) 창립자 겸 회장은 이번 심포지엄에서 40년 이상의 미국 내 홈헬스케어 비즈니스 경험을 토대로 세계 홈헬스케어 동향과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을 발표할 예정이다. 바야다 회장은 “한국에서 추진 중인 커뮤니티케어는 전 세계적 돌봄 화두인 ‘살던 곳에서 노후맞기(aging in place)’와 일맥상통한다”며 “돌봄이 필요한 이가 자신이 살던 집에서 최대한 오래 머물 수 있도록 돕는 홈헬스케어는 한국에서 커뮤니티케어가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데 핵심 역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배 의원, ‘실버존’확대하는 '도로교통법 개정안' 대표발의 어르신 보호할 수 있는 교통여건 구축으로 사고예방에 큰 도움 자유한국당 이종배 의원은 16일, 재래시장을 노인 보호구역, 일명 실버존(Silver Zone)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지방경찰청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노인 보호구역 지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며, 지방자치단체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르도록 규정하는 ?도로교통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보호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교통안전시설 설치가 강화되고, 차량 운행속도를 제한할 수 있어 교통사고 예방효과가 크다. 그런데 ′15년 기준 어린이 보호구역 16,000여 개가 지정돼 있는데 반해, 실버존은 750여 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연평균 6.6%씩 감소하고 있는 반면, 동 기간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는 연평균 6.7%씩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재래시장은 노인의 왕래가 잦고, 교통 혼잡도가 높아 노인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했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소에 따르면, 재래시장 주변에서 발생한 노인 교통사고가 52.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실버존 지정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보호구역이 확대될 경우 교통안전시설 확충을 위한 예산 확보가 어려워 노인 보호구역 지정에 소극적이었다. 이에 이종배 의원은 “고령층 인구가 많아지면서 노인 교통사고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개정안이 통과되면 교통사고로부터 어르신을 보호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돼 사고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법안 발의 취지를 밝혔다.
    • 남녀노소
    • 노인
    2018-11-16
  • 90대 이상 초고령 운전자 6천8백여명
    90대 이상 중 면허증 반납은 1% 불과 신창현 의원 “초고령 운전자들 적성검사 주기 단축 등 조치 검토해야”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90대 이상 초고령 운전자가 6,807명에 달하는데 반해 올해 운전면허 자진 반납자는 31명(‘18.8월 기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신창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91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는 총 6,807명으로, 이 중 최근 5년간(2014~2018.8)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한 사람은 약 1% 가량인 65명으로 조사됐다. 초고령 운전자 가운데 6,504명(96%)이 남성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여성은 243명에 그쳤으며, 같은 기간 운전면허를 반납한 사람 또한 모두 남성이었다. 한편 지난해 초고령 운전자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31건으로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발생건수(26,713건)의 0.5%에 불과하지만, 지난 2013년 52건과 비교했을 때 5년 새 2.5배 급증한 수치를 보였다. 정부는 몇 년 전부터 운전면허 자진 반납 캠페인을 벌이는 등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지만, 몇몇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대중교통 할인 등의 혜택이 거의 없어 효과가 미미한 상황이다. 이에 신 의원은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고령운전자 교통사고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다”며 “사고 우려가 있는 90세 이상 초고령 운전자들의 적성검사 주기 단축 등의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18-11-15
  • 고령자 섭식장애 문제 해결위해 정부가 나선다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급속한 인구 고령화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한 가운데, 노령에 따른 어르신의 음식 섭취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작하였던 국가의 노력이 결실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국제연합(UN)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을 고령자라고 지칭하며, 이러한 고령자의 비율에 따라 고령화사회(7%), 고령사회(14%) 및 초고령사회(20%)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웃 일본은 고령자 비율이 26%로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우리나라는 현재 추세로는 약 8년 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문제는 다양한 저출산 및 고령화 대책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식품, 즉 노인들의 먹거리와 관련된 대응책은 다른 문제에 비하여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빠르게 대두되는 노인의 건강 문제 중 섭식장애는 크게 3가지가 존재하며, 치아 손실 등에 따라 음식을 씹는데 관련된 기능의 저하에 따라 발생하는 저작장애, 음식이 구강에서 위까지 전달되는 경로 이상으로 인한 식이섭취장애인 연하장애, 타액분비 및 위, 췌장에서의 소화효소 감소 및 연동운동 저하 등에 따른 소화장애가 있다. 통계에 따르면, 국내 고령자의 약 50% 정도가 저작장애에 시달리고 있으며, 33% 정도가 연하장애에 시달리고 있다. 소화장애가 이러한 장애를 총칭하는 개념이기에 노인의 반 이상은 이러한 3대 섭식장애에 처하여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섭식장애에 따라 음식물을 정상적으로 소화할 수 없는 까닭에 정상적인 영양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과영양 사회라는 지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노인들은 반대의 상황에 처해있는 셈이다. 특히 섭식·연하장애는 영양결핍이나 탈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잘못된 연하로 인해 폐렴이나 기관지염 등 의 호흡기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고령자 및 그 가족이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이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사회현안 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시작하였으며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박동준) 전략기술연구본부 가공공정연구단 김범근박사 연구팀은 최근 노인들의 섭취 편의성이 부여된 고령자용 식품을 개발하였다고 발표했다. 5년간의 물성제어기술 연구를 통하여 한국음식 및 한국고령자에 적합한 한국형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위하여 효소반응, 식품 재성형 등의 기술을 통해 농·축·수산물 원료 약 20여 종의 고령자용 저작·연하·소화 용이성 부여 제품을 개발했다. 음식의 저작에서부터 목넘김까지 전체적인 과정을 모두 평가할 수 있도록 3D 구강 저작 모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지용성 비타민, 철분 등 결핍되기 쉬운 영양성분이 강화(포집능 90% 이상)된 고령자용 영양강화 식품 개발에 성공했다. 추가로, 3D프린팅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식품3D 프린팅 시스템 구축을 연구하고 단백질, 고분자 등을 식품원료와 함께 활용함으로써 물성 제어 및 식품학적 특성 개선 뿐 아니라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령자용 식품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동시에 고령친화식품 관련 법령 신설을 추진하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운영하는 한국산업표준(KS)에 2017.12. 품목(고령친화식품, KSH4898) 제정을 완료하였다. 앞으로 관련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최근 결실을 맺어 단체급식 및 프리미엄 식음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는 삼성웰스토리(주)와 대형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상반기 제품 출시를 목표로 기술이전을 진행 중이다. 특히 이번 기술이전은 식품연 성과확산실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원광연, 이하 연구회) 공동TLO 간 역할 분담을 통해 성사된 부분이 주목할 만하다. 연구회 공동TLO는 기술이전에 필요한 법률적, 절차적 자문 서비스를 정부출연연구원에 지원하고 정부출연연구원 전담인력은 이를 활용하여 공공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함으로써 기술사업화 생태계 활성화 촉진의 좋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고령친화식품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의료기관, 요양시설, 지자체 등과 지속적이고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시범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노인들의 만성 질병을 예방하고 단순 기대여명뿐만이 아닌 건강수명 증가에 기여함으로써 노인성 질병으로 인한 의료비용 지출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식품연구원 박동준 원장은 “책임자로서 이 연구사업을 손수 준비하던 10년 전만 하더라도 고령화에 대한 심각성은 현재에 비하여 크게 인식되지 못하였고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연구는 선진국에 비하여 크게 뒤쳐진 상황이었다”며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고령화라는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에 대하여 크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연구 결과로 국내 식품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동시에 우리 사회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고령화 문제의 해결과 국민체감 삶의 질, 그리고 균형적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남녀노소
    • 노인
    2018-10-11
  • 노인 2명 중 1명 “경제적 여려움”...국민 80% 고령화 ‘심각’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노인 2명 중 1명이 남은 생애 동안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특히 10명 중 6명 이상이 나이 제한 등으로 일자리를 구하고 싶어도 취업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1일 발표한 노인인권종합보고서에 따르면, 나이제한으로 인해 취업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 응답자의 비율은 58.6%, 일을 더 하고 싶으나 나이 때문에 은퇴한 경험은 61.2%, 보수, 업무 등 직장에서 차별 경험도 44.3%로 높았다. 이번 조사는 인권위가 지난해 5월~11월 노인 1000명과 청·장년층 500명을 대상으로 노인인권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최영애 인권위 위원장은 “우리 사회가 여전히 고령화 문제를 경제적 관점이나 사회문제의 현상으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고, 여전히 OECD 국가 최고 수준의 노인빈곤과 노인자살문제를 비롯하여 학대, 건강 문제, 사회참여 제한 등 다양한 노인인권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노인이 되는 것은 아무도 피할 수 없는 삶의 여정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낮은 출산율, 청장년 세대의 경제적 어려움과 세대 간 소통의 문제가 맞물려, 노인세대가 미래세대의 부담이라는 사회적 인식과 함께 노인혐오라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고령화 현상 근본적인 해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종필 의원(자유한국당)이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2017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고령화 현상에 대해 ‘심각하다’는 의견이 82.8%로 나타나 10명중 8명 정도로 국민 대부분이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제주(94.0%), 강원(89.9%), 대전/충청(86.6%) 등에서 ‘심각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현상이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의견 역시 83.1%(매우 영향 16.4%+어느 정도 심각 66.7%)로 높아 고령화 현상에 대한 심각성 인식 못지않게 현실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은퇴 후 다른 일자리 취업가능성에 대해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긍정적 응답이 53.7%로 ‘할 수 없을 것 같다’(23.1%)는 부정적 응답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몸이 계속 건강하다면 몇 세까지 일할 생각이 있는지 물어본 결과, 평균 72.9세로 높았으며 직장에서의 적당한 은퇴시기에 대해서는 평균 64.1세로 나타나 실제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에 중요한 사항에 대해 ‘경제적 안정 및 여유’가 39.3%로 ‘건강’(38.0%)에 비해 1.3%P 높게 나타났다.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방식(중복응답)으로는 ‘예금·저축·보험·펀드·주식’이 65.1%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이나 직역연금’이 60.5%로 많아 향후 국민연금개혁과 관련하여 큰 갈등을 불러일으킬 가능성 역시 점쳐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퇴직연금이나 민간은행/보험사의 개인연금’ 33.7%, ‘부동산’ 19.6% 등이다. 윤 의원은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저출산 못지않게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고 이로 인해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들은 ‘은퇴 후 재취업 가능성’, ‘근로가능연령’ ‘은퇴 시기’에 대해서는 현실보다 크게 긍정적인 기대를 하고 있어 정부가 고령화 현상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18-10-01
  • 65세 이상 노인진료비 8년 새 2배 증가
    노인 인구 680만명으로 건강보험 전체 가입자의 13% 2017년판 건강보험통계연보 나와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65세 이상 노인진료비가 8년 사이에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과 관련한 주요통계를 수록한 ‘2017년 건강보험통계연보(통계연보)’를 올해로 14년째 공동 발간했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7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680만 명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의 13.4%를 차지했고 2010년 노인진료비는 28조3천억 원으로 2010년과 비교해 2배가 증가했다. 65세 이상 노인 환자의 진료 인원과 진료비를 살펴보면 ‘본태성 고혈압’이 진료 인원과 진료비 모두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치은염 등 잇몸병(치주질환), 급성기관지염 순이었다. 65세 이상 노인환자의 입원 다발생 질병 순위는 △노년성 백내장 △알츠하이머 치매 △폐렴 순이었다. 이번 건강보험통계연보는 ‘요양기관’ 부문 통계 중 ‘의료인력’과 ‘의료장비’ 현황을 확대하고, ‘그림으로 보는 건강보험 주요통계’ 부분에 ‘내원 일당 요양급여비용 크기별 진료실적’, ‘처방일수별 원외 처방횟수’ 지표를 추가 수록했다. 한편 ‘2017년 건강보험통계연보’는 오는 28일(금)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서 열람 가능하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시스템 KOSIS(www.kosis.kr)에도 DB 자료를 구축하여 서비스할 예정이다.
    • 남녀노소
    • 노인
    2018-09-27
  • 추석 다가왔지만... 매년 노인학대 사건 급증
    88% 가정내 학대발생, 가해자 아들 배우자 딸 순 김광수 의원 “노인학대 더 이상 가족의 문제로만 취급해서는 안돼”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민족의 대명절 추석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안타깝게도 노인학대 사건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친족간의 학대가 노인학대의 대부분을 차지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민주평화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노인학대 건수 및 피학대자와의 관계’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노인학대 발생건수는 총 13,962건이었으며, 이 중 친족에 의한 학대가 10,373건으로 74%에 달해 4명 중 3명이 친족에 의해 학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연도별 노인학대 발생 건수를 살펴보면 △2015년 3,818건 △2016년 4,280건 △2017년 4,622건으로 나타나 최근 3년간 20%가 넘게 증가했다. 노인학대 가해자는 아들이 37%, 배우자가 20%, 딸이 10%를 차지해 10명 중 7명은 직계가족이 학대를 한 것으로 나타났고, 친족에 의한 노인학대 건수도 △2015년 2,940건(69.60%) △2016년 3,502건(75.52%) △2017년 3,931건(77.06%)으로 학대 발생건수와 친족의 의한 학대 비율이 매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학대발생 장소를 살펴보면 총 12,720건 중 가정 내에서 발생한 건수는 11,204건으로 무려 8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노인생활·이용시설 860건(7%), 공공장소 232건(2%), 병원139건(1%)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평온해야할 가정에서 가장 많은 학대가 자행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756건 △서울 1,338건 △인천 1,074건 △부산 1,053건 △경북 998건 △전남 904건 △강원 819건 △경남 766건 △광주 718건 △전북 668건 △충남 656건 △대구 542건 △충북 526건 △대전 327건 △울산 315건 △제주 251건 순으로 나타났다. 김광수 의원은 “그간 아동학대 사건이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대책마련에 분주했지만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노인학대는 무관심 속에 사실상 방치되어 있었다”며 “특히 노인학대는 가족 간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가정파탄에 이르게 해 결국 국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노인학대를 더 이상 가족의 문제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의 인식전환과 함께 당국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정부당국의 노인관련 정책을 꼼꼼히 들여다봐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노인학대 관련 대책 마련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 남녀노소
    • 노인
    2018-09-19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