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5(금)
 
[현대건강신문] 정부가 글로벌 제약강국 도약을 위해 본격적으로 범정부 차원의 투자와 지원을 시작한다. 새정부의 국정과제인 ‘2017년까지 세계 10대 제약강국 도약’을 위한 5개년 계획이 발표된 것이다.
 
특히 정부는 제약산업 육성책으로 신약 개발 지원을 위해 5 안에 10조원 규모의 연구개발 펀드를 조성해 지원한다고 밝혔다. 전례가 없을 정도로 파격적인 지원책을 약속하고 나선 것이다.
 
이번 발표는 제네릭·내수시장 위주의 성장전략에서 벗어나 ‘신약·신제품 개발을 통한 해외수출’을 새로운 성장전략으로 삼아, 제약산업을 글로벌화하겠다는 범정부 지원 계획이다.
 
실제로 제약산업은 고부가가치의 융복합 첨단산업으로써 국민건강권과 관련된 기간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어 미국·EU·일본 등 선진국가에서도 국가 차원에서 제약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하지만 신약개발은  대표적인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사업이다.
 
그 만큼 글로벌 신약을 개발했을 때 얻는 이익이 크지만 이에 못지않게 투자 위험도 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개별 제약사가 신약개발에 나서기가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대대적인 투자는 매우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제약산업은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고, 특히 지난해 일괄 약가인하 등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가운데 정부와 산업의 일대일 매칭 펀드 식으로 지원이 이뤄질 경우 실질적인 연구개발 전문 회사보다는 자금력이 있는 중견회사들만 지원을 받게 되는 불합리함이 반복될 우려가 있다.
 
지난 정부부터 제약산업이 신성장동력으로 지정되면서 꾸준한 지원과 투자가 지속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제대로 된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은 지원 시스템의 문제다.
 
최소한의 투자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산·학·연·관이 머리를 맞대고 제약산업이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 될 수 있도록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가 계획한 2017년까지 세계 10대 제약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이번 5개년 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될 것을 기대한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사설] 제약강국 도약 위해 지원책 뒤따라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