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시간 이내 치료시 뇌경색 발생 위험 5%로 낮춰
고혈압, 당뇨 환자는 특히 주의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일시적인 신체 마비, 언어 장애 발생 후 24시간 내에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으면 뇌경색 발생 위험을 5%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시보라매병원 신경과 이용석 서울의대 교수팀은 국내 11개 대학병원 뇌졸중센터와 함께 한국인의 일과성뇌허혈발작의 특성을 연구한 결과, 일과성뇌허혈발작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아 뇌졸중 전문 치료를 받은 환자의 경우 뇌경색 발생률이 5%인 것을 나타났다.
일시적 신체마비, 언어장애는 뇌경색 위험 신호
일과성뇌허혈발작은 뇌로 가는 혈관이 일시적으로 막혀 신체 마비, 언어 장애, 발음 이상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다시 회복되는 질환이다. 일시적 증세 이후 멀쩡해지기 때문에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무심코 넘어가기 쉽다.
하지만 일과성뇌허혈발작은 뇌경색의 전조 증상으로 뇌경색 환자의 30% 정도가 이를 경험한다고 하며, 발병 후 초기 48시간 이내 뇌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높고 뇌경색으로 발전되었을 때는 뇌세포가 일부 손상되어 영구적인 신체장애를 겪게 될 확률이 크므로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용석 교수팀은 일과성뇌허혈발작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아 신속하게 뇌졸중 전문 검사와 치료를 받은 환자 500명을 분석한 결과 150명(30.0%)은 MRI 검사 결과 뇌경색 초기단계였고 183명(36.6%)은 뇌혈관 협착을 동반하고 있었다.
64%의 환자가 반신마비, 20%는 언어장애 증상을 겪고 병원을 방문하였고 2/3의 환자는 고혈압이 있었으며 1/3의 환자가 당뇨와 고지혈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빠른 검사와 치료 후 뇌경색 발생률 5%로 감소
병원을 내원한 환자들은 즉시 MRI를 포함한 뇌졸중 검사를 받고 체계적인 치료를 받았다. 환자들의 개별적인 상황에 맞춰 항혈전 치료를 받고, 혈압 · 당뇨 등 뇌경색 발생과 관련된 모든 위험 요소를 관리한 결과 3개월 이내 뇌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5%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했다.
이는 과거 해외 연구에서 일과성뇌허혈발작 환자의 10%가 3개월 이내 뇌경색이 발생한다고 알려진 결과와 비교했을 때 주목할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용석 교수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등 뇌졸중의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가 일시적인 반신마비, 언어장애, 발음이상 등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 지체 없이 뇌졸중 전문 치료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덧붙여 "이번 연구 결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일과성뇌허혈발작 환자의 뇌졸중 발생 위험률을 상대적으로 낮춰 국내 급성기 뇌졸중의 치료 수준이 우수함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