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5(금)
 
사진기본크기1.gif▲ 심장질환 사망률이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평소 생활습관 개선이나 선행질환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증상 발생 후 빠른 치료 관건, 병원도착시간 개선되지 않아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심장질환 사망률이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평소 생활습관 개선이나 선행질환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는 29일 ‘세계 심장의 날’을 맞아 심뇌혈관질환의 심각성과 예방·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을 권고했다.
 
세계 심장의 날은 세계심장협회가 지정한 기념일로 심혈관질환의 발병 원인 및 예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했다.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연간 50,803명, 전체 사망의 약 20%로, 사회경제적 질병부담이 크다.
 
심장질환 사망률은 OECD국가 평균보다는 낮지만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뇌혈관질환 사망률은 감소 추세이나 여전히 OECD 국가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그러나,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인 성인 남성 흡연율은 여전히 40% 이상이고, 고위험 음주자 440만 명, 성인 35.8% 월 1회 이상 폭음을 하고 있으며, 성인의 신체활동 실천율 지속적 감소,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또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선행질환인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적정 관리수준 또한 미흡하다.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은 증상 발생 즉시, 재관류 치료가 가능한 전문 의료기관을 내원해야 하나, 병원도착시간은 아직까지도 골든타임 보다 상당히 지연되고 있으며,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률과 재발률도 증가 추세에 있다.
 
뇌졸중 환자 중 권장 시간인 3시간 이내 도착하는 경우는 전체 환자 중 50% 미만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첫째, 9대 생활 수칙을 준수하고, 둘째, 심뇌혈관질환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시간이 생명이므로 지체 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가까운 큰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또한, 국민들이 생활수칙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심근경색증·뇌졸중, 시간이 생명...선행질환 관리 중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