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4(월)
 
  •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김장환 교수 “홀뮴레이저 수술 후 부작용 100%, 간혹 요실금도”
  • 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조성용 교수 “수증기 이용 전립선비대증 치료 등 최소 침습 치료 증가”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조성용 교수는 “수증기를 전립선비대증 부위에 분사할 경우 세포 내에 균질하게 접촉해 조직을 괴사시키는 효과가 있었다”며 “이 시술 시 국소마취로 가능해, 기저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부 검사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소개했다.

 

본문_기본_사진2 copy.jpg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김장환 교수는 5일 보스톤사이언티픽 전립선비대증 치료 시스템인 리줌을 소개하며 “사람들은 (전립선) 크기가 크면 전립선비대증으로 오해하는데 많은 경우 크기와 질환 발생 간 관계는 없다”며 “전립선 자체 모양이 변형되는 것이 문제로 결국 요도가 작아져 폐쇄가 된다”고 밝혔다. 김 교수가 전립선비대증 치료법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대학병원에서 전립선비대증 치료하는 전문의가 수술 치료 시 ‘역행성 사정’, ‘발기부전’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립선의 크기가 증가하는 전립선비대증은 노화에 따라 요도 주변 전립선이 집중적으로 비대해지는 질환으로, 증상은 △빈뇨 △야간뇨 △요절박 △절박성 요실금 등이 대표적이다.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김장환 교수는 5일 보스톤사이언티픽 전립선비대증 치료 시스템인 리줌을 소개하며 “사람들은 (전립선) 크기가 크면 전립선비대증으로 오해하는데 많은 경우 크기와 질환 발생 간 관계는 없다”며 “전립선 자체 모양이 변형되는 것이 문제로 결국 요도가 작아져 폐쇄가 된다”고 밝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자료에 따르면 매년 발생하는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2017년 123만명 △2019년 137만명 △2021년 140만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김장환 교수는 “50대부터 (전립선비대증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대개 환자는 60세 이상”이라며 “60대 중 60%, 80대 중 80%가 전립선비대증 환자로, 대부분의 치료는 약물을 이용해 폐쇄된 요도를 열어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전립선비대증 환자 중 1.2%만 수술을 받는데, 표준치료법인 ‘경요도적 전립선절제술’은 점차 감소하고 ‘홀뮴레이저를 이용한 전립선 광적출술’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김 교수는 “홀뮴레이저 수술로 늘어난 부위만 제거해 요도가 넓어지지만 (수술 환자의) 70%가 부작용으로 사정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며 “(임상에서 보면 사정 장애가) 거의 100%이고 간혹 요실금도 발생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립성비대증 치료 방법을 결정할 경우 보통 크기로 정해지지만, 치료 효과와 부작용의 경중을 따져 최종 결정한다”며 “최근 발기부전 등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수증기를 이용한 전립선 절제술이 관심을 끌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1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수증기 이용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수증기를 이용한 전립선 조직 괴사를 통해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줄여줘, 안전성과 유효성이 있는 기술로 평가했고, 보건복지부는 고시를 통해 이 술기의 사용을 허가했다. 이 술기는 ‘전립선 용적 30~80cc의 하부요로증상이 있는 전립선비대증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조성용 교수는 “수증기를 전립선비대증 부위에 분사할 경우 세포 내에 균질하게 접촉해 조직을 괴사시키는 효과가 있었다”며 “이 시술 시 국소마취로 가능해, 기저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부 검사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소개했다.

 

조 교수는 “이 시술 후 보통 3~4일, 길게는 5~6일 소변줄을 끼고 있는 단점이 있지만 발기부전 등 부작용이 적고 시술 이후에도 4.4%만 재발하는 등 치료 성적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비뇨의학과 교수 “전립선비대증 수술 후 사정 이상 부작용 대부분 겪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