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국군병원, 환자 위해 대학병원과 협치”
- 한 위원장 “군 의료체계 개선 위해 뒷받침할 것”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연평도 포격 사건 때 한나절 동안 북한의 공격으로 연평도 전체가 쑥대밭이 돼가고 있는데, 군 의료진의 한 사람으로서 제가 피눈물이 나는 순간에 단 한 대의 응급구조 헬기도 뜨지 않았다”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오른쪽 사진)이 지난 15일 대전 국군대전병원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군 응급치료체계 개선’을 제안했다.
군 의료 핵심인 군병원은 국군의무사령부 산하에 전담병원·소방병원이 각각 6개가 있고, △해군은 해양의료원, 포항병원 △공군은 항공우주의료원이 있다.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방문한 국군대전병원은 6개 후방병원 중 하나로 223병상을 운영 중이고, 충청 지역 군 병력에 대한 치료와 전방·수도병원으로부터 후송된 환자를 담당하고 있다.
권미영 국군대전병원 기획실장은 “(대전병원은) 2020년에는 코로나19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되어 범국가적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며 “작년 튀르키예 대지진 시에는 본원에서도 의료진이 파견되어 의료 지원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국종 병원장은 지난해 12월 국군대전병원장으로 취임했다. 이 병원장은 “대전병원 센터장을 할 때 처음으로 24시간 항공의료 시스템을 시도했는데, 최근에는 다시 소방헬기로만 야간에 운영하고 있다”며 “밤에 대형 환자들이 많이 발생하는데, 미국은 (야간에) 헬기가 날아다니는데 한국 닥터헬기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을 떠올린 이 병원장은 “연평도에서 해병대원들이 피를 흘리며 죽어가고 있는데, 단 한 대의 의무헬기도 뜨지 않고, 단 한 명의 의료진도 증파되지 않아 국제적인 망신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지금도 이걸 극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헬리콥터 수가 단위 면적당 가장 많은 나라지만 야간 운행에 제약이 있어, 주간을 중심으로 헬기 응급 이송이 이뤄지고 있다.
이 병원장의 설명을 들은 한동훈 비대위원장은 “국방의 의무를 다하다 아프거나 다친 분들의 예우를 지금보다 훨씬 더 잘하는 것이 나라의 기초를 단단히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 병원장이) 군 의료체계 개선을 위해 온 걸로 이해하고 있는데, 충분히 뒷받침 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병원장은 전반적인 군병원 개선을 위한 예산 지원을 건의했다.
이 병원장은 “이 건물(대전병원)이 굉장히 괜찮고 층고를 보면 대학병원보다 높다”며 “근데 사소한 부분이 감성적으로 떨어지는 부분이 있어 조명과 페인트를 바꾸려는데 예산 좀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한 비대위원장이 “이제는 대부분 웬만한 수술도 국군병원에서 가능하냐”고 묻자, 이 병원장은 “여러가지 제한되는 상황도 있어 지금은 민간병원과 협조해서 하고 있다”며 “환자를 위해서 대학병원과 협치해서 같이 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