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기준 전공의 8,816명 사직서 제출...7,813명 근무지 이탈
- 근무지 이탈 확인된 6,112명 업무개시명령 발령
- 20일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 접수 사례 58건
- 일방적 진료예약 취소, 무기한 수술 연기 많아

중수본 부본부장 “정부 의료개혁 내용 오해 많아, 의사들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사직서를 내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8천명에 달하자, 정부는 환자의 생명을 생각해 전공의들은 속히 병원으로 복귀해달라고 당부했다.
주요 100개 수련병원 점검 결과 20일 오후 10시 기준으로 △전공의 8,816명 사직서 제출 △근무지 이탈 7,813명 △업무개시명령 발령자 6,112명 등이다.
20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서 접수된 피해사례는 총 58건으로 △일방적인 진료예약 취소 △무기한 수술 연기가 많았다.
박민수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 부본부장(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0일 브리핑에서 “의견 표출도 법이 정한 테두리 안에서 해야 하고 법을 떠나서 진짜 사람 목숨 갖고 그러면 안 된다”며 “본인(의사단체)들이 사람 목숨 갖고 그러는 거는 괜찮고 정부가 명령 내리는 거는 겁박을 한다고 하냐”며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의 반발을 일축했다.
의협은 지난 20일 “정부가 의사에게 내린 명령이 정당한 것이라면, 대한민국 모든 국민들은 사직의 자유가 없고 정부의 명령에 강제 근로를 거부할 수 없게 될 것”이라며 “정부는 더 이상 의사들의 자율적인 선택인 의업에 대한 포기를 불법적인 행동으로 매도하지 말라”고 정부의 현장 복귀 명령에 반발했다.
박 부본부장은 “정부가 법을 집행하는 걸 겁박이라고 하는데, 본인(의사단체)들이 현장을 떠나서 환자를 위태롭게 하는 거는 억만 배에 가까운 겁박”이라며 “왜 인식이 그런지 정말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와 의협이 ‘강대강’ 충돌을 이어가며 환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에, 박 부본부장은 “대화의 장이 열려 있으니, 공개적인 방법으로 국민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말씀해도 좋다”며 “어떤 형태의 대화도 가능하다고 제가 밝혔고, 그래서 지금 당장 현장 떠나는 것은 풀고 복귀해야 한다”고 전공의들의 병원 복귀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