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0(목)
 
  • “무분별하게 추진되는 윤석열 정부 반환경 폭정사업 철회돼야”
  • “화석연료·원전산업 퇴출과 재생에너지 전환 시급”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1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 하에서 추진됐던 대왕고래 프로젝트 등 환경을 파괴하고 생태계를 교란하는 개발 사업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1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 하에서 추진됐던 대왕고래 프로젝트 등 환경을 파괴하고 생태계를 교란하는 개발 사업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경숙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은 “윤석열 내란 피의자는 원전 수출 성과 방해를 계엄선포의 이유로 들었지만 체코 원전의 경우 계약이 확정된 상황도 아니다”라며 “스웨덴에 이어 슬로베니아 원전 수출도 무산됨으로써 윤석열 국정 과제로 호언장담 한 원전 10기 수출은 사실상 실패한 것이며, 이런 시대착오적인 원전 사업으로 사회적 비용만 발생한 꼴”이라고 말했다. 


김솔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팀 활동가는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대상지였던 동해 바다는 고래류를 비롯한 다양한 해양포유류와 보호종으로 지정된 해조류가 군락지를 이루고 있는 바다”라며 “석유가스 시추 사업이 해당 해역에 미칠 악영향은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 사전영향평가와 같은 절차는 전혀 이뤄진 바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이미 대규모 기름유출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했다”며 “반환경적인 정책으로 바다를 지속적으로 파괴한다면 우리 바다에서는 대왕고래 뿐만 아니라 모든 고래류가 사라질 수도 있다”고 말하며 해양생태계 보호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김성길 경기중북부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윤석열의 반환경적, 생태파괴적 정책은 대왕고래와 원전진흥 뿐만이 아니다”라며 “기후대응댐이라고 추진되었지만 실질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에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뿐더러, 환경과 지역 문화를 소멸시킨다”고 주장했다.


김 사무국장은 “경기도 연천의 아미천댐을 예로 들자면 주민들이 족대로 물고기를 잡는 수준의 하천에 댐을 짓겠다는 계획”이라며 “현실적으로 효과적이지 않을 뿐더러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인 동막리 응회암이 수몰되는 등 생태적 문화적으로 손실만이 있을 뿐”이라며 반생태적 기후대응댐 정책을 비판했다.


유에스더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활동가는 “윤석열의 폭주하는 핵발전 진흥정책은 그의 눈에만 보이는 원전 르네상스에 기댔을 뿐, 전 세계는 지난 20여 년간 이미 원전산업을 사양산업으로 보고 있다”며 “핵발전의 비용에 원전사고의 위험과 지역주민들의 피폭문제, 방사능 오염의 환경적 문제 등의 사회적 비용은 매겨져 있지도 않다. 온 나라가 핵발전의 불안과 상시적 피폭에 물들고 핵폐기물로 가득 차기 이전에 윤석열을 탄핵하고 핵진흥 정책도 탄핵해야 한다”며 정부의 핵진흥 정책을 규탄했다.


한편,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동해 석유가스 시추사업은 5~6월쯤 중간 분석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었으나,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간담회를 통해 1차 시추에서 경제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환경단체 “윤석열, 대왕고래 쫒으며 환경·생태계 파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