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쿠시마 핵 오염수 11차 해양투기 규탄 기자회견
- “정부는 적극적인 오염수 중단을 위한 노력 촉구해야”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은 지난 12일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11차 해양 투기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지난 열 차례에 걸쳐 이미 78,000톤의 핵 오염수가 방류되었고, 2026년 3월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약 54,600톤의 오염수가 추가로 방류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지난 열 번의 방류에서 방류된 삼주수소 양 보다 더 많은 15조 베크렐이 방류되며, 삼중수소 외에도 탄소14(반감기 5730년), 아이오딘 129(반감기 1570만년), 테크네튬99(반감기 21만 1100년)등 반감기가 긴 방사성 물질들도 함께 방류된다.
환경운동연합 안재훈 사무부총장은 “윤석열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해서 한 일이라곤 방류를 해도 별 문제가 없다며 시민들의 반대 목소리를 잠재우기 위한 일만 했을 뿐이다”라며 일갈했다. 또한 그는 오염수 하나만 파도 윤석열을 파면해야 할 이유가 분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운동연합 최경숙 에너지기후팀장은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핵 발전소 사고로 인한 방사능 피해와 참사는 외면한 채 오로지 사고를 수습하기보단 은폐하기 급급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시바 시게루’ 현 일본 총리의 오염수 해양 투기에 대한 말 한마디 없음을 지적하며 지금 즉시 해양 투기를 중단하고 핵 발전소 사고를 수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함을 말했다.
서울환경연합 이민호 기후행동팀장은 정부가 홍보하는 것처럼 “그렇게 안전하고, 필요하다면 경주, 삼척, 영덕이 아닌 서울과 수도권에도 핵발전소를 지을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력의 수요가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 되어 있기 때문에 “경주, 삼척, 영덕”에 지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수도권에 인구가 많다는 반론에 대해서 이미 “발전소 주변 30km 반경에 320만명의 부산시민, 100만명의 울산시민이 살아가고” 있는데 이들은 국민이 아니냐고 외쳤다. 서울에서 핵발전소가 불가능하다면, “대한민국 어디에도 안전하지 않는 핵발전소가 건설되어선 안된다”며 발언을 마쳤다.
기자회견은 회견문 낭독과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마무리되었다. 퍼포먼스는 탈핵 마스코트 ‘수호’가 일본 총리와 윤석열 대통령에게 ‘파면’과 ‘해양투기 중단’ 문구를 붙이며 사안의 문제점과 중대함을 알리면서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