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18(금)
 
  • 국회서 ‘체육활동 소외된 장애아동·청소년의 건강권 확보 토론회’ 열려
  • 강유석 한경대 교수 “장애 학생들, 공 주고받기·기록원 역할이 전부”
  • “장애 청소년 10명 중 체육활동 참여 1명도 안 돼”
  • “기본 운동기술조차 못 배워, 건강 관련 체력·지식·습관 부재”
본문_기본_사진2 copy.jpg
‘우리도 운동하고 싶어요 : 체육활동 소외 장애아동·청소년 건강권 확보 토론회’가 13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김영호·김용태·김문수·강경숙·서지영·김동아 의원 주최, 한국중증중복뇌병변장애인부모회 주관으로 열렸다.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강유석 한경국립대 특수체육학과 교수(오른쪽)는 12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우리도 운동하고 싶어요: 체육활동 소외된 장애아동·청소년의 건강권 확보’ 토론회에서 중증 장애 청소년들의 체육활동 실태를 지적했다.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체육학과 학생들에게 중고등학교 체육 시간에 뭐 했냐고 물었더니, ‘공익근무요원이랑 잠깐 공 주고받기’, ‘기록원 역할’이 전부였다고 하더군요.”


강유석 한경국립대 특수체육학과 교수는 12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우리도 운동하고 싶어요: 체육활동 소외된 장애아동·청소년의 건강권 확보’ 토론회에서 중증 장애 청소년들의 체육활동 실태를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강 교수는 “중증 지체·뇌병변 장애 학생들이 학교 체육에서 극도로 배제되고 있다”며 “일반학교 통합 체육 수업 참여율이 10% 미만”이라는 현실을 짚었다. 그에 따르면 특수학교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운동 장비나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직접 대학 내 중증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거 체육 수업 경험을 물었고, 그 대답은 충격적이었다.


체육 수업이란 이름 아래 이뤄진 활동은 대부분 수동적이거나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러닝머신에 올라 걷기”, “세라밴드로 가볍게 근력 운동하기”, “VR 보며 팔 흔들기”가 전부였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경험의 누적으로 인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운동 기술이나 건강 체력, 관련 지식조차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이러한 실태의 원인으로 △특수체육 전공 교사의 부족 △중증 장애 맞춤 운동 장비 미비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내용 부재 등을 꼽았다.


그는 “초등 특수학교 체육 교과서를 직접 집필한 경험이 있지만, 현 교육과정에는 지체장애 아동을 위한 성취 기준이나 교수·학습·평가 방법이 거의 제시돼 있지 않다”고 토로했다. 교과서 역시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대안이나 수준별 지도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장의 제약을 뚫고 중증 장애 청소년들에게 실질적인 체육활동 기회를 제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강 교수는 “학생 개별 능력에 맞춘 맞춤형 운동 장비 보급”을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실제로 한경국립대는 최근 중증 장애 학생들을 위해 1,500만 원 상당의 전동 휠체어(파워사커 전용) 8대를 도입해 팀을 구성했고, 참여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소개했다.


또 로봇 기반 보행 훈련 기기도 도입해 효과를 보고 있다. 다만 그는 “이러한 장비 역시 휠체어에서 이석(이탈)해야 하는 점에서 접근성과 안전성 면에서 한계가 있다”며, 휠체어 상태에서도 활용 가능한 장비 개발·보급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지도자 부족도 큰 문제다.


그는 “특수교사, 체육교사, 장애인 스포츠지도사, 재활운동지도사 등 다양한 양성 경로는 있으나, 중증 학생에게 적합한 지도 전문성 확보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현직 교사 대상 특수 연수 확대 △방과 후 개별 지도 프로그램 도입 △체육 보조교사 활용 등을 구체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모든 논의가 공허해지지 않도록 법·제도 정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애인체육진흥법, 장애인건강보험법 개정 등을 통해 중증 장애 아동·청소년의 ‘치료적 체육활동’이 법률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특수교육법에도 물리·작업치료 외에 체육 서비스 항목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그는 “운동은 권리”라며 “중증 장애 학생들이 학교 안에서, 또 지역사회 안에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이제는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을 맺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김영호·김용태·김문수·강경숙·서지영·김동아 의원 주최, 한국중증중복뇌병변장애인부모회 주관으로 열렸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여전히 장애 청소년 체육시간에 방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