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강경’ 전문의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 밝혀
- 신규 로봇 의료기기 도입 시 평가 포함한 연구계획서 의무화

[현대건강신문=경기 고양=박현진 기자] 국립암센터가 로봇 등 고가의 새로운 치료기기를 도입할 때, 반드시 평가를 포함한 연구계획서를 함께 제출하도록 하여 검증 절차를 한층 강화했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18일 경기도 고양시 국립암센터에서 ‘최첨단 기술로 암을 넘어선 혁신(Innovating Beyond Cancer with Cutting-Edge Technology)’을 주제로 열린 국제심포지엄 기자간담회에서 “환자들이 비용을 부담하며 받는 로봇 치료 등 고가 장비가 과연 어떤 효용을 가지는지 살펴보려 한다”고 밝혔다.
양 원장은 “비용을 떠나 새로운 장비는 기존 장비에 비해 효과가 확실히 뛰어나야 한다”며 도입되는 치료기기의 효과성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립암센터에는 대표적인 로봇 수술 장비인 ‘다빈치’가 5대 도입되어 있으며, 매년 수십억 원 규모의 신장비 구입 예산이 책정되어 있어 고가 의료기기의 도입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양 원장은 “국립암센터에서도 많은 임상의들이 새로운 로봇 외과 기구를 요청하고 있다”며, “기기 요청 시, 해당 기기를 평가하는 내용을 포함한 연구계획서를 함께 제출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 외과 재직 시절, 복강경을 활용한 위암 수술을 주로 해온 양 원장은 기존에도 복강경 수술과 로봇 수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그는 서울대병원 재직 당시 누적 위암 수술 건수는 3만 건을 기록해, 국내외에서 양 원장의 위암 치료법을 배우기 위해 연수생들이 서울대병원을 찾았다.
양 원장은 “국립암센터에서 새로운 고가 장비를 도입해 평가 결과를 내놓으면, 전국의 많은 병원들도 이 자료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관련 데이터를 더 확보하기 위해 규모 있는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