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1-28(화)
 

대한당뇨병학회 "제도 시행으로 적절한 당뇨 관리 어려워져"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지난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약국 본인부담률 차등제도'가 당뇨 환자들의 합병증 위험을 높이고 환자의 경제적 부담만 늘릴 것이라는 관련 학회의 지적이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이하 당뇨병학회)는 지난달 29일 서울 태평로클럽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주장하며 보건복지부의 정책 제고를 촉구했다.

당뇨병학회 박성우 이사장은 "제도가 시행되면 합병증이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며 "(환자들이)심한 합병증 뒤에 병원을 찾게 돼 적절한 당뇨병 관리가 더욱 어려워 질 것"이라고 말했다.

당뇨병학회는 일본의 예를 들며 2002년 본인부담율을 높인뒤 합병층 치료율이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인용했다. 당뇨병학회는 차등제도가 환자의 경제적 부담 증가도 증가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뇨학회 박태선 보험법제이사는 "더 큰 문제는 진료의뢰 절차에 따라 상급종합병원으로 간 환자도 본인 부담율이 올라가는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저소득 당뇨환자들이 치료를 꺼릴 우려가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약국 본인부담률 차등제도'가 실시된지 15일만에 일부 당뇨환자들이 보건복지부 앞에서 '약국 본인부담률 차등제' 철폐를 주장하는 시위를 펼치는 등 당뇨 환자들의 반발도 계속되고 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약국 본인부담 차등제, 당뇨 환자 치료 걸림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