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4-02(일)
 

대한고혈압학회, 하루 한 번 투약, 단일제형복합제 사용 권고

 

종근당, 대웅제약과 일동제약 등 4제 복합제 개발 중


가로_사진.gif
국내 고혈압 복합제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 개정된 대한고혈압학회의 진료지침에서는 치료지속성 개선을 위해 하루 한 번 투약과 단일제형복합제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권고 등급을 부여하면서 3제, 4제 복합제가 주목 받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국내 고혈압 복합제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 개정된 대한고혈압학회의 진료지침에서는 치료지속성 개선을 위해 하루 한 번 투약과 단일제형복합제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권고 등급을 부여하면서 3제, 4제 복합제가 주목 받고 있다.


2009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고혈압복합제인 '아모잘탄'을 출시했던 한미약품은 연이어 복합제를 내놓으면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한미약품의 고혈압 복합제는 아모잘탄 첫 출시 이후 4제 복합제까지 총 4종 18개 용량이 발매됐다.  


아모잘탄패밀리는 △고혈압치료 개량•복합신약인 아모잘탄(암로디핀+로사르탄) △아모잘탄에 고혈압 치료성분(클로르탈리돈)을 더한 3제 복합신약 아모잘탄플러스 △아모잘탄에 이상지질혈증 치료성분(로수바스타틴)을 더한 3제 복합신약 아모잘탄큐 △아모잘탄큐에 이상지질혈증 치료성분(에제티미브)을 더한 4제 복합신약 아모잘탄엑스큐 등 4종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한미약품이 아모잘탄을 출시한 이후, 후발 의약품 단일제 중심으로 형성돼 있던 한국 의약품 시장이 복합제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됐다.


최근 고혈압학회의 진료지침까지 바뀌면서 3제, 4제 고혈압 복합제 출시가 잇따르고 있다.


유한양행도 지난 20일 ‘듀오웰에이플러스’의 6가지 용량이 식약처의 시판 허가를 획득했다. 


‘듀오웰에이플러스’는 고혈압 치료 성분인 암로디핀과 텔미사르탄, 고지혈증 치료 성분인 로수바스타틴와 에제티미브를 합한 4제 복합제다. 


또, GC녹십자는 지난해 9월 고혈압·고지혈증 3제 복합제 ‘로제텔’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획득한 데 이어 지난 24일 4제 복합제인 ‘로제텔핀’이 다시 품목허가를 받았다.


‘로제텔핀’은 고혈압 치료 성분인 텔미사르탄, 암로디핀과 고지혈증 치료 성분 로수바스타틴, 에제티미브 성분을 한 알에 담은 전문의약품이다.


회사측은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동반한 국내 환자 약 1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로제텔핀’의 임상 3상에서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임상 결과, ‘로제텔핀’은 대조군 대비 혈관 수축기 혈압(msSBP) 변화량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변화율에서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이에 따라, GC녹십자는 고혈압 및 고지혈증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일제부터 2, 3, 4제 복합제까지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GC녹십자 관계자는 “4가지 성분을 한 알로 복용함으로써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임상시험에서 효과를 증명했듯 해당 환자들이 치료받는데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종근당은 지난 2일 고혈압∙이상지질혈증 3제 복합제 '칸타벨에이'를 출시했다. 


칸타벨에이는 안지오텐신II수용체차단제(ARB) 계열의 칸데사르탄과 칼슘채널차단제(CCB) 계열의 암로디핀 등 고혈압 치료약물과 이상지질혈증 치료약물인 아토르바스타틴을 더한 제품으로 해당 성분의 복합제는 칸타벨에이가 국내 최초다.


보령제약도 고혈압신약인 카나브를 앞세워 다양한 복합제를 출시하고 있으며, 종근당, 대웅제약과 일동제약 등도  4제 복합제 임상 중에 있어 경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혈압·고지혈증 복합제 경쟁 '뜨겁다'...3제·4제 출시 가속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