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 올해 9월 말 확진자 신고지 기준으로 집계 결과
- 부산 서구 인구 10만명 당 262명 사망, 대구 남구 229명
- 가장 적은 곳 부산 강서구, 강원 인제군 경기, 과천시 순

[현대건강신문]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코로나19는 2020년 심장병과 암에 이어 미국 내 사망원인 중 세 번째에 올랐다.
2021년은 물론 바이든 대통령이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났다고 선언한 올해도 여전히 코로나19 유행은 진행형이다.
지난 4월 이후 미국에서 코로나19 사망자는 하루 평균 300~400명 수준으로 발생하고 하고 있으며, 팬데믹에서 엔데믹 중간쯤에 있다는 우리나라에서도 19일 하루 동안 43명이 코로나19로 사망했다.
질병관리청의 ‘OECD 회원국 코로나19 발생 동향’ 자료에 따르면 9월 28일 기준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463만 4,296명이고 사망자는 2만 8,246명이며,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는 54.7명, 누적 치명률은 0.11%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OECD 회원국 중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헝가리로 494.3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일본 ·슬로베니아 392.6명 △체코 383.4명 △슬로바키아 371.8명 △리투아니아 345.0명 등으로 집계되었다. 인구10만명 당 사망자가 △미국 314.0명 △영국 278.5명 △호주 57.6명 △일본 35.2명 등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구 10만명 당 코로나19 사만자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인구 10만명 당 코로나19 사망자 현황’에 따르면, 가장 많은 시군구는 부산 서구이다.
사망자가 가장 적은 시군구는 부산 강서구로 같은 부산 지역이지만, 부산 서구는 262.4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강서구는 8.4명으로 가장 적었다.
9월 30일 기준으로 ‘확진자 신고지를 기준’으로 사망자를 집계한 결과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가 부산 서구가 262.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대구 남구 229.8명 △대구 중구 223.3명 △전북 순창군 171.3명 △광주 동구 168.2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구 10만명 당 사망자가 가장 적은 곳은 부산 강서구로 8.4명이었으며, △강원 인제군 9.3명 △경기 과천시 12.3명 △세종시 11.6명 △인천 연수구 15.9명 등의 순으로 사망자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