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3-20(월)
 
  •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2023년 신년 기자회견
  • 의약품 자급률 제고, 산업 경쟁력 확보의 선결요건
  • 원료·필수의약품·백신 국내 개발·생산 기반 강화해야
본문_기본_사진.gif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30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제약주권 확립이 제약강국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제약주권 확립은 우리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기필코 달성해야 할 제약강국 도약의 초석이기도 합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30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제약주권 확립이 제약강국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원 회장은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세계 각국의 보건의료체계 붕괴와 필수 의약품 부족사태 등 대혼란을 목도하며 보건안보의 중요성을 절감했다”며 “한 국가가 백신과 필수의약품 등을 자력으로 개발·생산·공급하는 역량을 갖추지 못할 때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건강을 제대로 지킬 수 없다는 뼈저린 교훈을 얻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세계 의약품 시장은 2022년 1,630조원에서 2028년 2,307조원으로 연평균 6%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는 반도체 시장의 3배에 달한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첨단재생의료 급성장 등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세계 주요국의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경쟁이 가열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탈세계화, 자국내 의약품 공급망 강화 등 글로벌 제약바이오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원 회장은 “다국적 제약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은 현실을 극복하고, 우리 기업이 만든 혁신 신약을 앞세워 글로벌 무대에서 K-브랜드의 위상을 확보하는 것 또한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에 부여된 책무”라며 “제약주권 확립은 우리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기필코 달성해야 할 제약 강국 도약의 초석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원료의약품과 백신 등의 낮은 자급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블록버스터와 글로벌 빅파마의 탄생 등 제약강국이 되겠노라 말하는 것은 모래위의 성을 짓겠다는 것과 같다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원 회장은 “각국의 자국 공급망 중심주의 강화 여파로 원료의약품, 감염병 백신, 국가필수의약품 공급망 확충 강화 등이 필요하다”며 “특히 원료의약품 등의 높은 해외 의존도는 공중보건 위기상황 발생 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사회안전망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제약주권 확립과 제약강국으로 가기 위해 △원료·필수의약품·백신의 국내 개발·생산 기반으 강화하고 △의약품 품질 제고 및 제조공정 혁신 △허가‧약가제도 등 불합리한 규제를 빠른 시일내 혁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내 제약산업은 지난해 세계 3번째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모두 개발했으며, 세계보건기구가 한국을 세계 유일의 바이오인력 양성 허브로 지정했다. 또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국내개발 신약이 2개 탄생했으며,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도 2018년 573개에서 2022년 1,883개로 3배 이상 늘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은 보건의료 총 예산이 4조 5,000억원으로 미국 NIH 56조원의 1/12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제약바이오 R&D 예산은 1.8조원으로 이 중 기업 지원 14.6%다. 

  

원 회장은 블록버스터 신약 창출을 위해서는 민‧관‧학‧연의 역량을 극대화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R&D 투자 확대 성과로 후기 임상 파이프라인의 다수 확보 및 산업 현장 오픈 이노베이션 활성화 등 혁신 신약 창출 여건은 성숙해 있다”며 “정부의 블록버스터 신약 창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R&D 투자 시스템을 구축하고, 투자 촉진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 약가 보상체계 혁신 없이는 글로벌 성공사례 도출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제약바이오협회는 산업계내, 기업간의 오픈 이노베이션 극대화를 총력 지원하겠다”며 “AI 신약, 디지털 의료제품의 개발‧허가 촉진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무대에서 제약강국 도약의 기반을 마련하고,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산업 고도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제약바이오를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아 줄 것과 △필수·원료의약품·백시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전폭적인 지원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임상 2,3상에 대한 정부 R&D 집중 투자, △보험의약품 가격제도 개선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와 메가펀드 지원규모 확대 등을 차질 없이 진행해 달라고 요구했다.


원 회장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제약주권의 토대를 탄탄하게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세계적 제약바이오그룹들과 당당하게 경쟁해 국부를 창출하는 출발점이라고 확신한다”며 “보건안보가 최우선시 되는 현실에서 대한민국과 우리 국민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무기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압도적 경쟁력”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제약주권 없이 제약강국 없다...허가‧약가제도 개선 필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