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8(금)
 
  • 국립보건연구원, 40세 이상 폐경 전 여성 1,436명 분석
  • 동맥경화 위험 높이는 LDL-C, 폐경 이전부터 증가
  • 고지혈증, 약물 치료와 함께 생활습관 개선 필수...포화지방산 섭취 줄여야
본문_기본_사진 copy.jpg
고지혈증 치료는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콜레스테롤 함유량이 적은 콩류, 두부, 잡곡류, 채소, 등푸른 생선, 해조류, 과일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루 30분 이상, 주 4회 이상의 운동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매년 9월 4일은 콜레스테롤의 날이다. 고지혈증은 지방 대사의 조절 이상으로 혈액 속에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이 증가하면서 발병하는 질환이다. 


사람들은 고지혈증 예방을 위해 무조건 콜레스테롤을 섭취하지 않으려고 하지만,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저밀도지단백(LDL) 콜레스테롤 모두 적정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LDL 콜레스테롤은 혈관에 많이 쌓이면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어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지만, 그 양이 너무 적을 경우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다.


고지혈증이 개선되지 않으면 혈액 속에 쌓인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벽에 상처와 염증을 유발하고, 상처 부위에 여분의 콜레스테롤이 침투해 쌓이는 과정에서 동맥경화가 진행된다. 동맥경화는 △심근경색 △뇌졸중 △협심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또한 혈액 내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경우 췌장염 발병률도 높아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고지혈증 환자는 △2015년 148만 7825명 △2017년 188만 2522명 △2019년 219만 7113명이다. 환자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욱더 많았다. 2019년 기준 전체 환자 219만 7113명 중 여성 환자가 131만 6885명으로 약 60%를 차지했다. 여성 환자는 50대에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50대에 여성 고지혈증 환자가 급증하는 이유가 최근 밝혀졌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여성에서 혈중 지질농도가 폐경 3~5년 전부터 폐경 후 1년까지 급격히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전문학술지에 발표했다.


혈중지질농도는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의 농도로, 농도가 높을 경우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지역사회기반 동일집단 조사 참여자 중 폐경 전 여성 1,436명을 대상으로 18년간의 추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그동안 폐경 후 여성에서 고지혈증 및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혈중 지질농도 변화가 언제부터 시작되는지에 대한 근거는 부족했다. 


연구진은 폐경 3~5년 전부터 폐경 후 1년까지 중년 여성의 혈중 지질농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먼저 동맥경화의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진 LDL 콜레스테롤은 폐경 5년 전부터 폐경 후 1년까지 연간 평균 2.95mg/dL씩 증가했다.


또한 동맥경화를 예방한다고 알려진 HDL 콜레스테롤 또한 폐경 3년 전부터 폐경 후 1년까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콜레스테롤의 증가비율을 고려하면 동맥경화의 위험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따라서 연구진은 폐경이행기의 건강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폐경을 앞두고 중년여성의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건강지표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폐경 이전부터 꾸준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고지혈증 치료는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포화지방산 섭취를 줄이는 식사요법, 운동, 체중 관리, 금연, 절주 등이 필요하다. 생활습관개선으로 나아지지 않거나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약물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약물치료를 하는 사람들도 생활습관개선을 함께 실천해야 한다. 


특히, 치료를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 되었다고 해서 임의로 약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약을 끊게 되면 콜레스테롤 수치는 약을 먹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고지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롤양을 증가시키는 포화지방산 음식 섭취를 줄여야 한다. 


쇠고기, 돼지고기, 버터, 베이컨, 소시지, 코코넛 기름과 팜유 등과 같은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적게 먹고 콜레스테롤 함유량이 적은 콩류, 두부, 잡곡류, 채소, 등푸른 생선, 해조류, 과일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루 30분 이상, 주 4회 이상의 운동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한편,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는 매년 9월 4일을 ‘콜레스테롤의 날’로 지정해 동맥경화의 위험성을 알리고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여성 폐경 3~5년 전부터 폐경 후 1년까지 혈중 지질농도 급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